코오롱그룹, 대기업 상장사 중 정규직 증가율 1위

  • 등록 2020.05.18 09:36:45
크게보기

1분기 직원 평균 급여 HDC 가장 크게 올라

 

[웹이코노미=김민호 기자] 국내 대기업집단 중 정규직 근로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코오롱그룹으로 나타났다. 올 1분기 직원 평균 급여가 전년보다 가장 많이 오른 곳은 HDC그룹이었다.

 

18일 대기업집단 전문 데이터서비스 인포빅스가 국내 33개 대기업집단 소속 상장사의 1분기 분기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코오롱그룹의 정규직 직원 수는 1년 새 14.94% 늘어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정규직 직원 증가율(36.68%) 자체만 놓고 볼 시 한화가 코오롱보다 높았으나 상장 계열사가 1곳 늘어난 점을 고려해 집계에서 제외됐다.

 

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플라스틱, 코오롱글로벌 등 코오롱그룹 상장사들의 정규직 직원은 올해 1분기 말 기준 7232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6292명)보다 14.94% 늘어난 수치다.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정규직 직원 수가 41.49% 늘어난 1126명, 코오롱플라스틱과 코오롱글로벌가 각각 39명, 62명으로 전년 대비 12.54%, 2.7% 증가했다.

 

반면 코오롱머티리얼의 정규직 직원 수는 지난해 1분기 341명에서 올해 1분기 156명으로 54.25% 쪼그라들었다. 코오롱생명과학 또한 인보사 사태의 영향으로 정규직 수가 같은 기간 16.28% 감소했다.

 

이외 영풍(9.35%), 하림(6.24%), 롯데(5.99%), KT&G(3.92%), SK(3.20%) 등이 1년 새 정규직 직원 수가 증가했다. 대우조선해양(-5.64%)과 대림(-4.74%), HDC(-4.67%), 현대백화점(-2.88%) 등은 전년 대비 정규직 수가 줄었다.

 

금융그룹을 제외한 1분기 직원 평균 급여(기간 중 급여 총액/급여 지급 인원)는 HDC가 전년 대비 가장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HDC의 1분기 평균 급여는 약 2470만원을 기록해 작년(1700만원)보다 44.88% 급증했다.

 

이어 포스코(42.99%), 카카오(23.40%), 신세계(9.93%), 현대자동차(9.09%) 등이 1분기 평균 급여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SK의 경우 올해 1분기 평균 급여(약 3350만원)가 지난해 1분기 말(4920만원)보다 31.91% 줄었다.

김민호 웹이코노미 기자 webeconomy@naver.com

 

김민호 기자 webeconomy@naver.com
<저작권자 © 웹이코노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등록번호 서울 아02404 | 법인명 주식회사 더파워 | 발행인 김영섭(편집국장 겸임) | 편집인(부사장) 나성률 | 청소년보호책임자 이종호 | 발행(창간) 2012년 5월 10일 | 등록 2013년 1월 3일 주소 : 서울시 강서구 양천로 94, 2층 202호-A1실(방화동) | (기사·광고문의) 사무실 02-3667-2429 휴대번호 010-9183-7429 | (대표 이메일) ys@newsbest.kr 웹이코노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웹이코노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