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 제주특별자치도가 응급의료 정책추진 기반을 마련해 지역 맞춤형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한 첫해, 중증응급환자 신속 대응부터 의료 취약지 해소까지 섬 지역의 한계를 극복하며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제주도는 높은 경증환자 비율과 응급실 이용자 수 증가라는 구조적 문제에 더해,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의료자원 한계와 지역 간 의료격차가 중첩되는 복합적인 의료 취약성을 안고 있었다. 이에 지난해부터 도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제주형 응급의료체계 구축’에 역량을 집중했다.
우선 제주도는 지역 응급의료 역량 강화를 위해 의료대란 위기 상황에서 지난해 2월 제주응급의료지원단을 출범시키고, 도 보건정책과에 전담팀을 신설하는 등 운영 기반을 강화했다.
중증응급환자 치료 기반 확충을 위해 제주대학교병원을 거점지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해 16병상의 중증응급환자 전용병상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응급환자의 신속한 이송을 위해 40억 원을 투입, 제주국제공항 내 닥터헬기 격납고를 설치 중으로 올해 상반기 준공을 앞두고 있으며, 서귀포의료원 옥상에 헬리포트도 연내 설치할 예정이다.
또한 의료대란에 대응해 응급의료지원단-소방-병원 협력체계 기반의 ‘제주형 이송·전원 핫라인’을 선제적으로 구축해 ‘응급실 뺑뺑이’ 현상을 사전에 방지했다.
병원별 치료 자원을 반영한 ‘제주형 이송 및 수용곤란 고지 관리 지침’을 시행하고, 구급차 등 긴급차량 우선 신호시스템을 도 전체로 확대해 응급환자 이송 시간을 단축했다.
의료 취약지 해소에도 주력했다.
서귀포 지역에 처음으로 달빛어린이병원을 지정해 소아 경증환자 수용 기반을 확충했으며, 제주시권 인구 증가에 대응해 중부권에 달빛어린이병원 1개소를 추가 지정했다.
도내 중증응급질환 치료 역량도 높였다. 흉부·복부 대동맥 응급질환 등 5개 중증응급질환 분야에서 치료 가능 기관이 부족한 점을 개선하고자 제주형 당직지원체계를 도입했다. 전문의와 심폐기사에게 수당을 지원해 월 20일 이상 안정적인 당직체계를 구축했다.
그간 노력의 결과, ‘제주형 이송·전원 핫라인’ 가동으로 3,959건의 환자에 대한 병원 선정을 지원했으며, 병원 수용 환자 중 87.8%의 중증응급환자가 우선 배정을 통해 적기 치료의 기회를 얻었다.
지역 응급의료체계 운영에 전년 대비 100.1% 증액된 199억 4,000만원의 재정을 투자해 응급의료 인프라 확충과 지역 완결 응급의료체계 기반 구축을 지원했다.
또한 중증도별 맞춤형 의료기관 이용을 유도한 결과, 지난해 응급실 내원환자와 경증환자가 전년 대비 감소해 응급의료 자원이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제주도의 응급의료체계 혁신 노력은 지난 7일 발표된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에서도 인정받아 응급의료 분야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680명의 일반국민평가단은 제주도의 ‘응급환자 SAFE! 골든타임 SAVE!’ 사례를 국민 체감형 우수사례로 꼽았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제주의 지리적 한계와 특성을 고려해 운영체계를 구축했고, 지역 내 협력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시책 마련과 추진의 결과”라며 “앞으로도 도민이 체감하고 신뢰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시책 발굴로 생명 안전 섬 제주를 구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