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 채혜린 기자] 국가유공자를 위한 국립묘지 안장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지상욱 의원(바른정당, 서울 중구·성동구을)이 국가보훈처로부터 제출 받은 ‘생존안장대상자 현황 및 국립묘지 안장현황’ 자료에 따르면, 현재 국가유공자 중 생존한 안장대상자는 45만여 명에 달하나 국립묘지의 안장여력은 1/10수준인 4만 5000여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 의원은 “최근 3년간 연평균 안장기수는 1만 7여기로 현행 안장능력을 감안하면 2년 6개월 후인 2020년 상반기에 국립묘지 만장이 예상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특히 대전현충원과 이천호국원의 경우는 올해 말로 만장이 되어 안장수급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보훈처는 대전현충원(16년 착수)과 이천호국원(2018년 예정)의 확충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사업종료시점이 대전현충원의 경우 2020년이고 이천호국원은 2024년이다.
지 의원은 “사업이 완료되는 기간 동안 국가유공자들의 유해는 안장시설을 찾아 타 지역을 전전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더 큰 문제는 현재 국가가 계획하고 있는 모든 안장시설 확충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17만 5000여기의 안장시설이 부족해 국립묘지의 안장수급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지 의원은 “국립묘지에 국가유공자분들을 모시는 것은 국가유공자에 대한 국가의 마지막 예우이다”라면서 “보훈처는 현재 진행 중인 확충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 관계부처와 협의해 국가유공자의 국립묘지 안장에 대한 중장기 종합대책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