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토)

  • 맑음동두천 25.0℃
  • 구름많음강릉 16.2℃
  • 맑음서울 24.5℃
  • 맑음대전 24.4℃
  • 구름조금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0.7℃
  • 맑음광주 24.0℃
  • 맑음부산 23.1℃
  • 맑음고창 22.4℃
  • 맑음제주 22.7℃
  • 맑음강화 21.3℃
  • 맑음보은 22.9℃
  • 맑음금산 23.8℃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많음경주시 21.1℃
  • 구름조금거제 24.0℃
기상청 제공

산업종합

중동·아프리카 제조업 허브인 이집트, K-팩토리로 공략

산업부·KOTRA, 이집트서 ‘2024 한-이집트 제조업 파트너십’ 개최
이집트 투자청, 방산물자청, 수에즈운하 경제구역청 등 참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와 KOTRA(사장 유정열)는 이달 15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2024 한-이집트 제조업 파트너십’을 개최했다.

 

지난해에 이어 2회째인 이번 행사는 주이집트 대한민국 대사관(대사 김용현)과 함께 우리 제조 기업의 이집트 투자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집트 투자청(GAFI), 방산물자청(NOMP), 수에즈운하 경제구역청(SCZone) 등 현지 제조업 관련 기관 5개가 참가했고, 한국에서는 삼성전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이집트 현지 법인 등 관계자 20여 명이 참가했다.

 

이집트에서 제조업은 국내총생산의 약 17%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이다. 1억 명 이상의 인구 중 50%가 30대 이하이며, 노동자의 숙련도 대비 인건비가 저렴해 △ABB(전력 기자재) △Siemens(전력 기자재) △Novartas(의약품) 등 글로벌 기업이 이집트에서 제조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집트는 유럽연합, 중남미, 아프리카 등과 FTA를 체결했으며, 이를 활용한 제3국 수출이 용이해 중동·아프리카 진출의 전초기지이자 역내 제조업 허브로 발돋움하고 있다.

 

행사 1부에서는 ‘이집트 투자 환경 및 기회’를 주제로 이집트 투자청(GAFI)이 이집트 투자환경과 인센티브를 설명했다. 이어 수에즈 운하 경제구역청(SCZone)은 최근 관심도가 높은 수소 산업을 포함해 경제 구역별 산업단지 개발 계획을 소개했다.

 

이어서 2부에서는 아랍 산업화기구(AOI), 방산물자청(NOMP), 산업개발청(IDA)이 ‘이집트 유망 산업 및 협력 방안’을 주제로 한국과 이집트의 제조업 협력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특히, 이집트 정부가 미래 먹거리 제조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가전, 방산 분야 협력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됐다. 이집트 정부와 기업은 삼성전자, LG전자의 이집트 진출 사례처럼 자국민 고용 효과와 수출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높은 제조업 분야에서 한국기업과의 협력에 큰 관심을 보였다.

 

김용현 주이집트 대한민국 대사는 환영사를 통해 “내년은 한-이집트 수교 30주년으로 그 간의 굳건한 경제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제조업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이 더욱 확대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어 호삼 헤이바(Hossam Heiba) 이집트 투자청장(GAFI)은 “한국과 이집트 기업 간 제조업 협력 확대를 위해 주이집트 대한민국 대사관과 KOTRA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며, “이번 행사를 계기로 기술이전, 인력양성 등 기업 간 제조업 파트너십 구축 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신재현 KOTRA 카이로 무역관장은 “이집트는 1억 이상의 인구, 풍부한 노동력과 저렴한 인건비를 바탕으로 중동·아프리카 내 제조업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며, “참가기업을 밀착 지원해 성과를 창출하고, 기업의 수요에 부합하는 파트너 발굴로 우리 기업의 현지 제조업 진출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KOTRA는 이달 21일부터 ‘한국-이집트 제조업 비즈니스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기업 간 일대일 제조업 상담회(온라인)를 개최할 예정이다. 상담회에는 ▲El-Sewedy Electric(전력 기자재) ▲Hassan Allam Construction(인프라) ▲GB Auto(자동차) 등 이집트 대기업이 참가해 한국기업과 제조업 분야에 대한 협력을 논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