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부처일반 총 6건의 기사가 있습니다.
-
[정정보도] 관련
본보의 작년 10월 8일자 위 제목의 보도에 대해, 신고리 1,2호기 비상디젤발전기(EDG)계통과 소방계통 설계분야 책임자였던 정종한 기술사는, “공급사가 제시한 –20°C 환경조건은 CO2 분사로 –50°C까지 떨어지는 환경조건에 훨씬 못 미치므로 CO2 분사조건에서 EDG 성능이 보증되지 않는다. EDG는 –50°C까지 떨어지는 환경조건에서 연료필터의 막힘 현상, 결로현상에 의한 전기 및 계측장비 영향, 경년열화 현상 등에 대하여 검증되지 않았다. 또, 한수원이 수행한 CO2 분사시험은 EDG가 정지된 상태에서 수행한 것이므로
김영섭 기자2023-04-06 -
전상직 회장 "주민자치회 읍면동 설치는 협치, 통리는 자치 구조로"
전상직 한국주민자치중앙회 대표회장이 “행정, 정치, 정책, 경제, 사회, 교육 등 주민자치가 함유한 다양한 학문간 대화를 가능케 하는 주민자치 과정을 대학에 개설해 올해를 주민자치 발전 원년으로 만들 것”이라고 천명했다. 전 회장은 지난 16일 수원시 아주대학교 율곡관에서 열린 2023 한국지방자치학회 동계학술대회 주민자치 기획세션 개회식 축사를 통해 “통리 관치화의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수원시 주민자치 현황과 운영사례 분석을 통해 정부가 지향해야 할 주민자치 정책의 기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각오와 함께 계획
김영섭 기자2023-02-20 -
‘관재(官災) vs 민재(民災)’…주민자치 관점 '이태원 참사' 국회 토론회
제11회 주민자치 실질화 대토론회가 오는 10일 오후 2시부터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이태원 참사 관재(官災)인가? 민재(民災)인가?’를 주제로 개최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회의원 이명수, 국회의원 김두관 의원실이 주최하고 사단법인 한국주민자치학회와 한국주민자치중앙회가 주관하는 이번 대토론회에서 정부와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목도한 재난안전사고에 대해 현명한 예방 및 대응책을 주민자치 관점에서 고찰해 보고 올바른 방향성을 찾는 시간을 마련한다. 재난에 대처하는 주민자치의 역할과 책임 모색우선 ‘이태원 참사 무엇이 문제인가’를
김영섭 기자2023-01-09 -
'만능 엔터테이너' 이영만 박사, ‘무한궤도...가면속의 거짓말’ 출연 특별연기상 화제
‘시네마테크 충무로’(대표 김문옥 감독)는 지난 5일 서울 충무로영상센터 오재미동 시사실에서 영화 ‘무한궤도...가면속의 거짓말’(각본·감독 김문옥) 시사회를 열어 열악한 제작 여건에도 열정으로 연기한 전체 출연 배우들에게 특별연기상을 시상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영화에는 이영만 박사를 비롯해 최다형, 박효근, 배경희, 정인철, 김재현, 박보근, 박태현, 이대갑, 박흥렬, 김류경 씨 등이 출연했다. 김문옥 감독은 영화계의 대부로 손꼽힌다. 특히 이영만 박사는 치과의사, 시인, 발명가, 작사가, 가수, 배우, 언론인으로서 만능엔터테
김영섭 기자2023-01-06 -
재난안전위기관리협회∙한국자금중개 업무협약 체결
[웹이코노미 김영섭 기자] 사단법인 재난안전위기관리협회(회장 김찬석)는 한국자금중개주식회사(사장 이승철)와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한국자금중개 회의실에서 금융환경 안전사고 예방 및 재난안전위기 관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금융시장의 변화 및 안전사고에 대한 민감도가 기업뿐만 아니라, 국민에게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금융환경 사고 예방 및 위기관리의 중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환경 안전’을 선도하는 한국자금중개가 재난안전위기관리협회와 이번 협약과 협력을 통해, 금융환경
김영섭 기자2022-06-28 -
"MZ세대, 일자리 선택 시 워라밸 가장 중요...괜찮은 일자리는 수도권, 연봉 3천만원대"
[웹이코노미 김송이 기자]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 이하 경총)는 MZ세대 구직자 1,000명(응답자 기준)을 대상으로 MZ세대가 생각하는 괜찮은 일자리 인식조사 결과를 5월 17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MZ세대는 ‘일과 삶의 균형’이 맞춰지고 ‘수도권’에 위치하며, 연봉 ‘3,000만원대’를 기대할 수 있는 일자리를 ‘괜찮은 일자리’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괜찮은 일자리의 판단기준 =‘일과 삶의 균형이 맞춰지는 일자리’라는 응답이 66.5%, ‘공정한 보상이 이루어지는 일자리’라는 응답이 43.3%로 높게
김송이 기자2022-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