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총 175건의 기사가 있습니다.
-
G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산학연협의회 출범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지난 20일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산학연협의회 발족식을 열어 미래모빌리티인지센서학회 추계학술대회를 연계해 21일까지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협의회는 지역 기업, 연구기관, 대학이 참여하는 산학연 융합 협력 플랫폼으로, 내년 3월 개원 예정인 기술경영전문대학원과 지역 산업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맡는다.행사에는 현대자동차,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등 주요 모빌리티·센서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해 AI 기반 센서 통합, 자율주행차 안전성, 차량 부품 고장 예측 등 최신 연
윤혜인 기자11-24 17:30 -
KAIST.서울대, 포플러 나뭇잎 열 조절 방식 모사 소재 개발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KAIST는 전기및전자공학부 송영민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학교와 함께 포플러 나뭇잎의 열 조절 방식을 모사한 하이드로겔 기반 자율 온도조절 소재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재료과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Advanced Materials)'에 11월 4일자로 온라인 게재됐다.이 소재는 전력 없이도 건물 외벽이나 임시 구조물에서 스스로 냉·난방을 전환할 수 있다.핵심 구조는 리튬 이온과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결합한 하이드로겔로, 온도와 습도에 따라 자동으로 네 가
윤혜인 기자11-22 15:22 -
특구재단, 청년일자리 창출 나선다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지난 19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년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에 공동주관으로 참여해 국가전략기술 분야 특구기업 39개사와 청년 채용 연계 활동을 진행했다고 20일 밝혔다.특구재단은 채용정보 DB 고도화, 채용홍보 지원, 지역 고용행사 협력 확대 등 인재매칭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정희권 이사장은 “대덕특구는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핵심 기업들이 집약된 혁신 클러스터로, 우수 청년 인재 유입이 필수적”이라며 “청년에게 양질의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고, 특구기업의 인재 확보를
윤혜인 기자11-20 22:58 -
특구재단, 미국 네바다주에 특구기업 진출 및 투자 기회 넓힌다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18일 미국 네바다주 경제개발국 대표단과 한미 혁신산업 기술교류회를 열었다.이번 교류회는 전기 모빌리티, 청정에너지, 반도체 분야에서 특구기업과 네바다주 간 기술 협력과 북미 시장 진출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네바다주는 전기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해외 투자 유치와 혁신기업 유입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정희권 재단 이사장은 “네바다주와 특구기업 간 실질적 협력 가능성을 확인한 의미 있는 출발점”이라며, “공동 연구개발과 기술 실증을 통해 특구기업의 글로벌 시장 성과 창출을
윤혜인 기자11-18 23:02 -
특구진흥재단 "엘렉트· 이엠엑스· 파이온시스템즈 특구펀드 30억원 투자확정"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사장 정희권)은 18일 '2025 R&D 매치업 챌린지' 본선 및 시상식에서 엘렉트와 이엠엑스는 특구형 스타트업 부문에서 대상을 받았다고 밝혔다.특구형 스타트업 사업은 특구 내 딥테크 스타트업 집중 발굴, 역량강화 지원 및 투자기반 우수기업 집중육성 등으로 구성됐다.특히 본선 진출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특구펀드 투자 확약도 진행해 엘렉트, 이엠엑스, 파이온시스템즈 3개 기업이 연구개발특구펀드를 통해 총 30억 규모의 투자를 받을 예정이다.한편 이번 대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비롯해
윤혜인 기자11-18 22:56 -
특구재단, 덴마크와 딥테크·에너지 기업 유럽진출 지원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지난 17일 주한덴마크대사관과 딥테크 혁신 및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기술혁신 사례 공유, 딥테크 기업의 글로벌 스케일업 지원, 공동 연구개발 수요 발굴,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을 추진한다.특구재단은 덴마크 현지 인프라와 클러스터 네트워크를 활용해 특구기업의 유럽시장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또 11월 25일 특구와 덴마크 에너지 클러스터 등과 함께 비즈니스 교류회를 공동 개최할 예정이다.정희권 재단 이사장은
윤혜인 기자11-18 22:35 -
KAIST, 과학과 예술 융합한 ‘G아티언스 2025 커넥팅위크’ 개최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KAIST가 17일 대전컨벤션센터와 윕스퀘어 일대에서 ‘G아티언스 2025 커넥팅위크’를 시작했다. 행사는 KAIST와 한국예술종합학교, G아티언스 조직위원회가 공동 주최한다.‘G아티언스 2025 커넥팅위크’는 과학기술과 예술, 인문과 산업의 융합을 통해 미래형 K-컬처의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이성희 KAIST 문화기술대학원 학과장은 “문화기술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조망할 것”이라고 밝혔다.KAIST는 "이번 행사에 1세대 연구자와 차세대 연구진이 함께 참여한다"고 소개했다. 조직위원장 원광연
윤혜인 기자11-18 00:45 -
KAIST, 원자 하나 바꿔 ‘분자 접는 법’ 찾았다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KAIST는 이노코어 AI-CRED 연구단(단장 이희승 KAIST 석좌교수)이 펩타이드 분자의 접힘 구조를 원자 단위로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0월29일자 온라인판에 실렸고 온라인 표지로도 선정됐다.연구진은 산소를 황으로 바꾸는 티오아마이드 변환을 통해 분자의 입체 구조를 조절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 기술은 AI 기반 맞춤형 신약 설계의 핵심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펩타이드
윤혜인 기자11-16 12:15 -
GIST, ‘고정주 커뮤니티라운지’ 신축… 총장 관사가 모두의 열린 공간으로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광주과학기술원은 11월 13일 ‘고정주 커뮤니티라운지’ 개관식을 열었다.이 공간은 1,057명의 기부로 조성된 GIST 최초의 순수 기부 건물이다.신축 1개 동과 리모델링된 관사 1개 동 등 총 2개 동, 861.57㎡ 규모로 마련됐다.음식점, 숙박시설, 회의실, 옥상정원 등 다양한 시설이 들어섰으며, ‘기부자 명예의 벽’이 설치됐다.임기철 총장은 “기부와 나눔의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재)지스트발전재단 최은모 이사장은 “이 공간이 소통과 협력의 새로운 광장이 되길 기대한다”고
윤혜인 기자11-15 23:10 -
입어도 되고 수술없이 치료도 되는 초음파 센서 나왔다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KAIST는 전기및전자공학부 이현주 교수 연구팀이 곡률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유연 초음파 센서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파트너 저널 플렉서블 일렉트로닉스(npj Flexible Electronics)'에 10월 23일자 온라인판으로 게재됐다.이 센서는 반도체 공정을 활용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저융점 합금을 내부에 삽입해 전류로 형태를 바꾼 뒤 냉각하면 원하는 곡면으로 고정할 수 있다.기존 센서보다 출력이 높고 안정성이 뛰어나 고해상도 영상과 치료용 초음파에 활용
윤혜인 기자11-13 09:16 -
GIST, 발전재단 이사장 이·취임식 개최…‘나눔과 도약’ 다짐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지난 6일 오룡관에서 지스트발전재단 제4·5대 이사장 이·취임식을 열었다고 9일 밝혔다.지스트발전재단은 2016년 설립돼 GIST의 교육·연구 지원, 기부문화 확산, 산학협력, 지역사회 공헌을 이어오고 있다.김해명 제4대 이사장은 재임 중 다양한 사업을 통해 재단의 위상을 높였으며, 총 4억 6천만 원을 기부해 학교 발전에 기여했다.최은모 신임 이사장은 국내 배터리 제조설비 산업을 성장시킨 인물로, GIST와 오랜 인연을 이어왔다.임기철 총장은 “지스트발전재단은 G
윤혜인 기자11-09 23:29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2025년도 원전 계통 및 기기 성능평가 워크숍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11월 6일부터 7일까지 2025년도 원전 계통 및 기기 성능평가 워크숍을 연다.이번 행사는 원자력 및 유관기관 실무자들이 모여 원전 계통 성능평가 분야의 동향과 규제 방향을 공유, 규제요건 적용 현황과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다.워크숍에서는 가동중시험 규제지침 개정, 정비규정 및 가동중정비 준비현황 등 8개 주제가 다뤄질 예정이다.
윤혜인 기자11-06 22:24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제1회 재활용고철취급자 방사선안전 워크숍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11월 6일부터 7일까지 경북 김천에서 제1회 재활용고철취급자 방사선안전 워크숍을 열었다.이번 행사는 방사선감시기 운영절차서 표준화 지침 개발의 일환으로 마련됐다.워크숍에는 재활용고철취급자, 방사선감시기 제조사, 유지보수 업체 등 약 30명이 석했다.
윤혜인 기자11-06 21:17 -
GIST, 아시아 폭염의 두 유형 규명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환경·에너지공학과 윤진호 교수 연구팀이 아시아 전역의 폭염을 지역별로 정밀 분석한 결과, 몬순 지역에서는 고온과 높은 습도가 결합된 ‘습한 폭염’이, 중앙아시아 등 건조 지역에서는 습도가 낮은 ‘건조 폭염’이 각각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기후변화(Climatic Change)'에 10월 14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연구에는 KAIST 김형준 교수, 세종대학교 정지훈 교수, APEC기후센터(APEC Climate Cente
윤혜인 기자11-06 11:09 -
KAIST-서울대, 상온에서도 작동하는 차세대 고체 전해질 개발
KAIST(총장 이광형)는 화학과 변혜령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학교 손창윤 교수팀과 공동으로 상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새로운 유기 고체 전해질 필름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dvanced Energy Materials' 10월 5일자에 게재됐다.연구팀은 구멍이 일정하게 배열된 다공성 구조의 ‘공유결합유기골격구조체(COF, Covalent Organic Framework)’라는 신소재를 이용해 머리카락 굵기의 약 1/5수준(두께 약 20μm)의 고체 전해질을 제작했다.개발된 전해질은 기존 유기계 고체전해
김영섭 기자11-05 22:29 -
GIST, 전임교원 12%가 세계 상위 2% 연구자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글로벌 학술정보 분석기업 엘스비어(Elsevier)와 미국 스탠퍼드대학교가 공동 발표한 ‘2025 세계 상위 2% 연구자(Top 2% Scientists 2025)’ 명단에 GIST 소속 연구자 23명이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이 가운데 세계 상위 1% 연구자로 평가된 최정상급 연구자는 9명에 달한다.‘세계 상위 2% 연구자’는 엘스비어와 스탠퍼드대가 매년 전 세계의 연구자를 대상으로 발표하는 영향력 평가 명단으로, 논문 수나 인용 횟수뿐 아니라 인용지수, 공동저자 기여도, 연구자의 생산성과
김영섭 기자11-05 14:55 -
"엔비디아 젠슨 황 대표, KAIST와 AI·로보틱스 혁신 협력 의지 밝혀"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KAIST는 지난 10월 31일 이재명 대통령이 젠슨 황 엔비디아(NVIDIA) 대표를 접견해 대한민국 AI 생태계 혁신 방안을 논의한 것과 관련해, "이번 만남이 국내 인공지능(AI) 기술 발전과 글로벌 협력 강화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환영했다. 또 젠슨 황 대표는 이번 APEC CEO 서밋 기조연설에서 “KAIST와 같은 대학, 스타트업, 정부, 연구기관과 협력해 한국의 AI 생태계를 활성화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에 따라 KAIST는 엔비디아와 차세대 AI 반도체, HBM 기술 연구, 자율주
윤혜인 기자11-03 10:13 -
물 속 '영원한 화학물질' 1,000배 빠르게 없앤다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KAIST(총장 이광형)는 건설및환경공학과 강석태 교수 연구팀이 부경대 김건한 교수, 미국 라이스대 마이클 S. 웡(Michael S. Wong) 교수 연구팀, 옥스퍼드대, 버클리국립연구소, 네바다대와 함께 과불화합물(PFAS)을 기존보다 1,000배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연구팀은 구리와 알루미늄이 결합된 점토 형태의 소재를 통해 PFAS를 빠르게 흡착·제거하는 기술을 구현했다.이 소재는 기존 활성탄이나 이온교환수지보다 흡착 속도와 효율이 크게 향상됐다.또한, 열이나 화
윤혜인 기자10-30 23:49 -
KAIST, 기온 상승에 따른 매출 변화 AI예측모델 개발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KAIST 도시인공지능연구소가 MIT, 서울AI재단과 함께 '도시 인공지능' 연구 성과를 최근 공개했다.29일 KAIST에 따르면 연구진은 ‘도시의 열과 매출’ 프로젝트에서 서울 426개 행정동, 96개 업종의 매출과 날씨 등 3억 건 이상의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기후 변화가 상권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했다.분석 결과, 편의점 업종의 경우 64.7%는 기후 변화에 안정적인 지역, 35.3%는 민감 지역으로 나타났다.특히 KAIST는 AI가 미래 기온 상승에 따른 매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자체
윤혜인 기자10-30 00:54 -
KAIST, 그린수소 전지 10분 만에 완성하는 초고속 소결 공정 개발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KAIST는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연구팀이 마이크로파를 활용해 10분 만에 고체산화물 전해전지를 완성하는 초고속 소결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이번 기술은 기존 1,400℃에서 6시간 이상 걸리던 소결 과정을 1,200℃에서 10분으로 단축했다.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체적가열 방식으로, 전지 제조의 에너지와 시간을 크게 줄였다.새로 제작된 전지는 750℃에서 분당 23.7mL의 수소를 생산하며, 250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작동했다.이강택 교수는 “고성능 전해전지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윤혜인 기자10-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