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김필주 기자] 세계 양대 의결권 자문기관인 ISS와 글래스 루이스가 현대모비스·현대글로비스간 분할·합병안에 반대 의사를 나타낸 가운데 국내 의결권 자문기관인 대신지배구조연구소도 양사간 분할·합병안과 관련해 주주들에게 ‘반대’를 권고했다.
지난 9일 또 다른 국내 의결권 자문기관인 서스틴베스트도 주주들에게 ‘반대’ 권고를 내림에 따라 현재까지 현대모비스·현대글로비스간 분할·합병안에 찬성을 권고한 자문기관이 단 한 곳도 없어 오는 29일 열릴 현대모비스 정기주주총회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관심이 몰리고 있다.
지난 16일 대신지배구조연구소는 ‘현대모비스 분할합병계약서 승인의 건 분석’ 자료를 통해 현대모비스·현대글로비스간 분할·합병안에 대해 반대 의견을 권고했다.
연구소는 분할·합병 절차상 문제를 반대 근거로 삼았다. 현대모비스에서 분할되는 사업부문이 비상장회사로 간주돼 공정가치로 평가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분할사업부문을 상장한 후 합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현재 현대모비스 주주가 상장주주에서 비상장주주로 지위가 변동되는 문제도 사라지고 시장에 의해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아 절차상 문제가 없다는게 연구소 설명이다.
앞서 ISS는 두 회사간 분할·합병안에 대해 “거래조건이 한국 법을 준수하고 있으나 해당 거래는 현대모비스 주주들만 불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주주들에게 반대 의견을 권고했다.
또한 글래스 루이스의 경우 ‘의심스러운 경영논리’에 근거를 둔 분할·합병안이라며 주주들에게 반대 의사를 표시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지난 9일 국내 의결권 자문기관 중 하나인 서스틴베스트도 “합병비율과 목적이 주주관점에서 설득력이 없다”며 반대를 권고했다.
서스틴베스트는 “현대모비스 존속부문인 핵심부품 사업의 가치가 과대평가되고 분할부문인 모듈·AS부품 사업은 과소평가 돼 있어 주주들에게 부정적”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내 의결권 자문사 가운데 한국기업지배구조원만 아직 현대모비스·현대글로비스 분할·합병안에 대해 별다른 의견을 제시하지 않았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까지 반대 의견을 내놓을 경우 현대모비스·현대글로비스간 분할·합병안 성사 여부는 불투명해질 것으로 보인다.
현대모비스 지분 9.8%를 보유해 캐스팅보트 역할 거머쥔 국민연금이 의결권 행사 때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의견을 준거로 삼을 예정이기 때문이다.
만약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반대 의견을 권고해 국민연금마저 돌아선다면 오는 29일 열릴 현대모비스 주총에서 두 회사간 분할·합병안 통과는 힘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김필주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