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KB손해보험의 자회사인 KB손해사정이 장기보험사고에 대한 보험금 처리 접수 방식을 놓고 노조와 갈등을 이어가고 있다.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KB손해사정지부는 설 연휴를 앞둔 지난 22일 서울 합정동 소재 KB손해보험 합정사옥에서 장기보험사고 접수 처리 지연에 대한 경영진의 책임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노조는 “KB손사가 보험금 청구 접수에 대해 지급을 지연 처리하고 있어 고객들의 민원에 시달리고 있다”며 “사측의 무분별한 접수전담법인 설립으로 현재 장기사고 접수 미결 건이 평균 3만건에서 11만건으로 늘어났다”고 주장했다.
이어 “과거 KB손사 직원 600명이 진행하던 일을 접수전담법인 인력을 포함해 총 1000여명이 담당하고 있다”면서 “인원은 늘었지만 업무 신속도나 효율성이 더욱 악화돼 비용만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KB손보와 KB손사는 지난해 초 오케이손해사정, KG손해사정 등의 전속법인을 설립해 보상정보입력 및 보험금 산출 등의 업무를 위탁하고 있다.
이에 KB손사 관계자는 노조의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며 선을 그었다. KB손사 측은 “연말과 겨울에는 장기보험사고 접수건수가 늘어나는 게 보통이고 다른 손사 업계 역시 동일한 사항”이라며 “별개로 장기보험 청구는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고, 미결 건의 경우 현재는 약 6만건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노조 관계자는 “지난해 전속법인이 생길 당시 회사에서는 3개월만 시간이 지나면 해당 시스템이 완벽히 정착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했다”며 “전속법인의 직원들은 KB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기 어려워 퇴사율이 높고, 이는 곧 업무미숙에 따른 미결 건수 증가로 이어진다”고 밝혔다.
이어 “고객이 보험금 청구서류를 접수한 날을 기준으로 보험금 지급이 3일을 초과할 시 지연이자를 지급해야 한다”며 “미결 건 증가로 쌓여가는 지급이자는 결국 보험료 상승 등 고객 부담으로 돌아간다”고 강조했다.
조경욱 웹이코노미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