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전기·전자·화학

현대자동차그룹, '경영악화' 부품 협력사에 총 1조6천억 지원

수소전기차 경쟁력 강화 위해 2030년까지 연구·개발 등에 총 누적 규모 약 7조6천억원 투자

 

[웹이코노미=김필주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하 '현대차그룹')이 경영환경 악화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중소 부품 협력사를 지원하기 위해 총 1조6천728억원 규모의 상생 협력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13일 현대차그룹은 1‧2‧3차 협력사의 경영 안정화와 신기술 투자 등을 지원하기 위해 총 1조6천108억원의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초 현대차그룹은 2·3차 중소 협력사 자금지원 목적의 상생협력기금 500억원 출연했고 2·3차 협력사 전용 상생펀드 1천억원을 조성했다.

 

이외에도 그동안 동반성장펀드 1035억원, 상생운영자금펀드 500억원, 상생금형설비펀드 750억원, 모비스 협력사 전용펀드 765억원 등 총 4천550억원 규모의 펀드‧기금을 조성해 협력사를 지원해 왔다.

 

여기에 추가로 1400억원의 미래성장펀드를 신규 조성하고 부품 투자비 조기지급을 위해 1조4558억원의 자금을 지원하며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한 경영안정 긴급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위해 150억원을 출연하기로 했다.

 

뿐만아니라 현대차그룹은 중소 부품 협력사가 친환경차·미래차 등 변화하는 자동차 산업에 대응해 부품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기술 지원 및 공동개발 등 3대 분야를 지원할 방침이다.

 

또 내년 오픈 예정인 글로벌상생협력센터와 연구소 내에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신기술 전시회, R&D 데크데이, R&D 모터쇼 등 친환경‧미래자동차 컨텐츠를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친환경 자동차인 수소전기차 넥쏘의 증산과 연계해 설비투자를 확대하는 중소‧중견 협력사를 대상으로 내년 최대 440억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 11일 현대차그룹은 '수소전기차(FCEV) 비전 2030'을 발표하고 오는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를 연 50만대 생산가능한 체제를 구축해 수소전기차 글로벌 리더십을 지속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현대차그룹은 협력사와 오는 2030년까지 연구·개발(R&D) 및 설비 확대 등에 총 누적 규모 약 7조6천억원을 투자하고 약 5만1천명을 신규 고용할 계획이다.

 

1‧2·3차 협력사를 모두 아우르는 상생 생태계도 보다 강화된다.

 

현대차그룹은 1차 협력사 대상 '상생협력 5스타 제도' 평가항목에 '상생결제시스템 활용도'를 포함시키고 상생결제 우수 1차 협력사에 대해서는 차기 연도 입찰시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했다.

 

상생결제시스템은 은행‧대기업이 공공기관 신용도를 바탕으로 대금지급을 보증해 2·3차 협력사들도 저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이밖에 현대차그룹은 내년부터 3년간 2·3차 중소 협력사 800여개사를 대상으로 IT, 소프트웨어(SW) 기반 실시간 공장 자율제어시스템 구축 비용 등을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과 연계해 진행되는 해당 프로그램으로 연간 약 270개 부품 협력사를 지원할 계획이다.

 

2·3차 중소 협력사의 수출 마케팅 지원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국내·외 자동차 부품 산업전시회 참가를 지원하고 해외 바이어를 매칭시켜주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이며 내년부터 오는 2021년까지 매년 80여개사, 3년간 총 240여사가 지원을 받게 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중소 부품 협력사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라며 "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실력으로 함께 극복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필주 기자 webeconomy@naver.com

 





레저·여행·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