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김필주 기자] 지난해 삼성의 대(對) 미국 로비활동 금액 규모는 312만달러(한화 약 35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트럼프 정부가 출범한 지난 2017년 삼성이 로비한 350만달러에 비해 10.8% 감소한 규모다.
21일 미국 시민감시단체 책임정치센터(Center for Responsive Politics)와 업계 등에 따르면 삼성은 지난 2018년 삼성전자 미 현지법인과 로펌 등을 통해 총 312만달러의 로비자금을 지출했다.
또한 삼성은 미국에서 활동하는 전자업종 기업‧협회 가운데 로비자금을 가장 많이 지출한 회사 순위로는 전년 대비 두 계단 상승한 9위에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책임정치센터 조사결과 마이크로소프트(718만달러)가 지난해 가장 많은 로비자금을 지출했고 뒤를 이어 퀄컴(600만달러), 오라클(547만달러), 애플(509만달러), IBM(395만달러),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 협회(ESA)(384만달러), 소비자기술협회(CTA)(363만달러), 지멘스(315만달러) 순으로 조사됐다.
외국 업체 중 삼성보다 더 많은 로비자금을 쓴 기업은 독일 지멘스뿐이다.
작년 삼성이 가장 집중적으로 로비활동을 벌인 분야는 무역‧통상(Trade) 관련 분야로 전체 로비활동 81건 가운데 13건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로비에 집중한 이슈는 전자통신(Telecommunication) 분야로 총 10건에 해당됐다. 특히 전자통신 로비 규모는 지난 2017년 건수 기준 7위에 불과했으나 1년만에 2위까지 급상승했다.
한편 트럼프 정부 출범 후 최근 2년간 삼성의 로비활동 규모는 총 662만 달러(약 74억원)로 지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오바마 2기 행정부에 로비한 자금 규모 총 604만 달러를 뛰어 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해 업계는 삼성이 지난해부터 심화된 미중간 무역마찰과 최근 미국과 유럽 일부나라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화웨이(華爲) 배척 움직임을 틈타 5세 이동통신(5G) 장비 시장 내 입지를 넓히려는 시도로 보고 있다.
김필주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