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컴퍼니’를 추구하는 SK텔레콤이 AI∙ICT 기술 기반 제품과 서비스들을 통해 전년대비 높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은 2022년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SV) 측정 결과 2조 4,927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 2021년 2조 1,062억원 대비 18.4%(3,865억원) 높은 성과를 거뒀다고 8일 밝혔다.
SK텔레콤의 전년 대비 성장세는 ▲AI 돌봄과 AI콜 등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난제 해결을 위한 서비스 ▲보이스피싱 수발신을 차단해 고객의 피해를 줄이는 기술 등이 견인했다.
SK텔레콤은 자사가 보유한 ICT 인프라와 폭넓은 고객 접점을 활용해 사회 안전망 구축과 온실가스 감축 등 다양한 방면에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지난 2018년부터는 사회적 가치를 화폐화해 측정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주요 제품∙서비스 영역 지표들의 SV측정 산식을 자사 뉴스룸에 공개해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고 신뢰도를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경제간접 기여성과, 환경성과는 전년 유사 수준… 사회성과가 성장세 견인
SK텔레콤의 ‘22년 사회적 가치 창출 성과는 영역별로 ▲『경제간접 기여성과』가 전년 대비 0.3%(57억원) 증가한 1조 9,277억원 ▲『환경성과』는 2.7%(29억원) 감소한 -1,111억원 ▲『사회성과』는 131.3%(3,838억원) 증가한 6,761억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