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전기·전자·화학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6조5000억원...지난해 대비 56% 급감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4.2% 감소한 56조원...반도체 산업 부진 영향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5일 삼성전자는 2분기 매출 56조원, 영업이익 6조5000억원의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1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6.89%, 4.33% 증가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4.2%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무려 56.3%나 급감했다. 역대 최고 이익을 기록했던 지난해 3분기(17조5700억원)와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당초 증권사는 삼성의 영업이익 평균치를 약 6조원 초반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11분기 만에 최악의 성적표를 낼 것이란 우려와 달리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올렸다. 애플에 공급한 OLED 패널 등 디스플레이 사업의 일회성 수익이 선방하며 영업이익을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 감소는 확실시 되는 분위기다. 사업 부문별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주력인 반도체 사업의 영업이익은 3조원대 초반으로 추정된다. 반도체 사업 부문이 지난 1분기(4조1200억원)와 지난해 3분기(13조6500억원) 올린 실적에 비하면 초라한 성적표다.

 

삼성전자의 실적이 바닥을 다지며 상승 변곡점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지만 반도체 경기 흐름은 여전히 녹록치 않은 실정이다. 최근 D램 가격이 역대 최대 수준까지 떨어진데 이어 미·중 무역전쟁,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 규제 등 악재가 연달아 터지며 하반기 실적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의 수출 규제, 이재용 부회장의 재판 등 대외적인 변수로 불확실성이 워낙 크다는 점은 삼성전자에 큰 부담"이라면서 “일본 정부의 규제가 장기화 될 경우 생산이 감소할 수밖에 없지만, 반도체 공급조절이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면 하반기 실적 개선에 긍정적 영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경욱 웹이코노미 기자 webeconomy@naver.com

 





레저·여행·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