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김필주 기자] KEB하나은행이 2019년 상반기 퇴직연금 적립금 성장률이 2018년 말 대비 7.0%를 기록해 은행권 1위를 달성했다. 2018년 말 대비 퇴직연금 적립금 순증금액은 8,872억 원으로 2019년 6월 말 기준 퇴직연금 13조 5천억 원을 기록했다.
2005년 처음 퇴직연금이 도입된 이후 2017년 10조 원을 돌파한 데 이어 2년 5개월만인 지난 5월 말 13조 원 달성, 6월 말 기준 13조 5천억 원을 달성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날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연금시장에서 이뤄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크다.
은행, 증권, 보험을 포함한 그룹기준 2019년 상반기 퇴직연금 적립금 순증 실적(9,082억 원)도 금융그룹 중 1위를 달성했다.
KEB하나은행의 이러한 성장은 올해 초 은행권 최초로 연금사업본부를 신설해 혁신동력을 강화한데 이어 6월에 또 다시 연금사업단으로 격상해 연금영업에 집중하고 시장을 적극 공략한 결과다. 또한 하나금융투자 역시 7월 연금사업팀을 독립부서로 격상해 조직개편을 하는 등 그룹 내 관계사 간의 원활한 협업이 이뤄질 수 있는 초석을 마련했다.
KEB하나은행은 지속적인 저금리 기조 하에 최근 관심이 많아진 퇴직연금 저수익률 문제에 적극 공감하고 손님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고금리 신상품을 지속적으로 개발·제공하고 있다. 지난 5월 신설한 연금손님 자산관리센터를 통해 적극적인 만기관리·저금리 상품 리밸런싱 등 1:1 손님 맞춤형으로 진행하고 있다.
KEB하나은행은 퇴직연금 수수료를 대폭 인하했다.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의 자산관리 수수료율 일괄 0.02% 인하해 기업의 부담 비용을 낮추고, 사회적 기업에 대해서는 운용·자산관리 수수료를 50% 인하했다. 지난 6월에는 청년가입 손님의 경우 최대 85%, 연금수령 손님의 경우 최대 95%까지 IRP 수수료를 인하했다. 또한 누적수익률 마이너스(-)인 경우 IRP 수수료 면제, 표준형 DC 운용관리수수료 0.10% 일괄 적용 등 추가적인 수수료 인하를 추진 중이다.
디지털 혁신을 통한 손님의 편의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 2월 은행 영업시간과 상관없이 365일 24시간 자유롭게 연금 상품의 신규·변경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지난 6월 하나연금통합포털을 오픈해 연금 조회, 신규 등 연금 모바일 채널의 다양화를 이뤘다. 최근에는 IRP 신규를 5분 안에 끝내고 쉽게 상품변경을 하는 등 보다 편하고 직관적인 내 손안의 모바일뱅킹 환경을 만들었다.
차주필 KEB하나은행 연금사업단장은 "연금상품은 손님과 15년 이상을 함께하는 초장기 상품"이라며, "앞으로도 손님들의 노후자산을 책임지는 '손님 행복' 극대화를 위해 한발 더 앞서가는 손님의 생애 여정에 맞춘 연금은행으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다지겠다"고 전했다.
김필주 웹이코노미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