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전기·전자·화학

5년간 전국 라돈 검출 아파트 1만9000채...포스코건설 1위 불명예

정동영 "정부, 라돈 방출 건축자재 관리방안 확정해야...국회서 관련법 통과 시급"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최근 5년간 전국 아파트 1만8682가구에서 방사성 물질 '라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사 가운데 포스코건설은 전국 아파트 라돈 검출 신고 1위의 불명예를 차지했다.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정동영 의원(민주평화당)이 14개 광역지방자치단체(17개 중 경기·충남·제주 미제출)로부터 받은 '아파트 라돈 검출 피해 신고 접수 내역' 분석 결과 2015년부터 올해 8월까지 16개 단지 1만8682가구에 사용된 건축자재에서 라돈이 확인됐다.

 

특히 포스코건설은 5개 단지·5164가구에서 라돈이 검출돼 건설사별 검출 주택 수가 가장 많았다. 그 뒤로 부영주택 4개 단지·4800가구, 한신공영 2개 단지·1439가구 등으로 조사됐다.

 

금성백조, 두산건설, 라인건설, 삼성물산, 중흥건설, 태영건설, 하랑종합건설, 한라건설 등 8개 건설사는 각 1개 아파트 단지에서 라돈 검출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서울시 노원구 녹천역 두산위브아파트, 전주 에코 포스코 더샵2차 아파트는 신고접수 후 라돈 검출 건축자재를 모두 교체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별로는 부산 4800가구, 세종 3792가구, 서울 3161가구, 경북 2487가구, 충북 2486가구, 경남 883가구, 전북 702가구, 강원 353가구, 전남 18가구 등이다.

 

앞서 정부는 올해 1월 9일부터 라돈관리 및 규제에 대한 논의를 지속하고 있으나 아직 라돈 방출 건축자재에 대한 관리 방안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2월 라듐(라돈 생성 전 단계 원소) 함유 건축자재 사용을 제한하는 주택법·실내공기질 관리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 의원은 "국민 안전과 직결된 문제는 방향 뿐 아니라 속도도 중요하다"며 "문재인 대통령도 작년 11월 라돈 등 생활 유해물질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라고 강조했지만, 환경부·국토부·원안위가 아직 결론을 못낸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현미 국토부 장관이 환경부와 원안위를 설득해 조속히 결론을 내야 한다"며 "국회라도 라돈 방출 건축자재 사용 금지 법을 빨리 통과시켜 국민 불안을 줄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국

조경욱 웹이코노미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