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 이고운 기자] 김상훈 의원이 지난 3년간 20·30대의 마이너스 통장 한도액이 62조원을 넘어섰다고 지적했다.
4일 금융감독원이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대구 서구, 국토교통위원회)에게 제출한 '최근 3년간 5대 시중은행 마이너스 통장 개설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20대와 30대가 신규 개설한 마이너스 통장이 계좌수 123만2123건 한도액은 62조4056억원에 달했다.
최근 새로 만들어진 마이너스 통장 3건 중 1건 이상은 청년세대가 개설한 것이다.
특히 2030세대의 마이너스 통장 개설액은 해마다 가파르게 증가했다. 지난 2017년 15조8659억원이었던 한도액은 2018년 들어 15조9281억원으로 전년 대비 622억원 증가했고, 2019년에는 무려 4824억원 증가한 16조4105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7월 현재 14조2011억원으로 상반기 정도만에 작년도 수치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계좌수의 경우 지난 2017년 34만6768건에서 2018년 33만877건으로 줄었으나 2019년 들어 34만332건으로 다시 증가했다. 올해에는 7개월여만에 21만4146건이 신규개설돼 연말쯤에는 40만건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이점은 2019년 들어 20대의 신규 계좌수가 급등했다는 점이다.
지난 2018년까지 최대 6만9234건에 머물렀으나 2019년 들어 8만2538건으로 1만 계좌이상 급증했고, 대출한도 또한 3000여억원 가량 늘어났다. 올해 7월 현재 계좌수는 전년 대비 절반 수준이나 대출 한도액은 거의 근접했다. 30대에 이어 20대까지 빚을 내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이다.
김상훈 의원은 "文정부 3년여간 가중되는 대출규제와 집값 상승과 취업난 등으로 인해 청년세대로서는 내집마련을 위한 '영끌'과 주식투자를 위한 '빚투'에 나설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라고 지적하며 "경기침체가 오래갈수록 자산과 소득이 상대적으로 적은 청년세대로서는 빚의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으므로 이에 대한 선제적 방안을 논의해야 할 때다"라고 의견을 전했다.
이고운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