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김필주 기자] 윤재승 전 회장의 직원에 대한 욕설로 논란이 된 대웅제약이 국세청으로부터 세무조사를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12일 미래경제는 국세청 등 사정당국의 말을 인용해 지난 11일부터 중부지방국세청 조사1국이 서울 강남 대웅제약 본사에 대해 세무조사를 펼치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웅제약이 받는 세무조사는 지난 2014년 이후 4년 만에 받는 정기세무조사 성격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지난 2014년 10월 경 국세청 세무조사를 받은 대웅제약은 지난 2010년 4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3개 사업연도에 대해 국세청으로부터 법인세 추징금 124억원을 부과받기도 했다.
앞서 지난 2013년 10월 검찰 수사 결과 대웅제약은 지난 2011년 8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의사 400여명에게 2억원 대 규모의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2014년 5월 법원으로부터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에 따라 2014년 세무조사 당시에도 리베이트와의 연관성이 주목된 바 있다.
제약업계는 이번 대웅제약에 대한 세무조사 역시 리베이트와의 연관성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올해 상반기 국세청은 유한양행과 유한양행 계열사 MG, 부광약품, 삼진제약 등 제약사에 대해 세무조사를 집중적으로 펼쳐왔다.
특히 이번 대웅제약에 대한 세무조사는 유한양행 사례처럼 교차 세무조사인 것으로 전해져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앞서 대전지방국세청은 서울 유한양행 본사에 대해 교차 세무조사를 펼친 바 있다. 이번 대웅제약에 대한 세무조사도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 강원도를 관할하고 있는 중부지방국세청이 교차 세무조사를 하고 있다
교차 세무조사는 관할 지방청 세무공무원과 기업간 유착 등을 없애고 공정성을 더욱 기하기 위해 치뤄지는 세무조사다.
또 지난 11일 국세청이 조세회피처 실체를 이용하거나 해외 현지 법인과의 정상거래 위장 등 구체적 역외탈세 혐의가 있는 법인 65개와 개인 28명 등 총 93명에 대해 동시 세무조사에 착수했다고 발표함에 따라 국세청의 이번 대웅제약 세무조사 목적에 대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뿐만아니라 세무조사시 기본적으로 살펴보는 일감몰아주기 행위에 대해서도 국세청이 들여다 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윤 회장이 지분 34.61%를 보유한 디엔컴퍼니의 경우 지난해 473억원 매출 가운데 116억원을 대웅제약 계열사와의 내부거래를 통해 올려 일감몰아주기 의혹을 받고 있다.
또한 지분 53%를 보유해 윤 회장이 최대주주인 엠서클도 작년 매출 452억원 중 111억원을 계열사와의 거래를 통해 달성해 내부거래 비중은 24.6%를 차지하고 있다.
윤 회장은 지난달 27일 욕설 사태가 터진 이후 현재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채 미국으로 출국해 거주 중이다.
한편 대웅제약 측은 이번 세무조사에 대해 4년만에 실시된 정기세무조사라며 확대 해석에 선을 그었다.
김필주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