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함현선 기자] ‘곤지름’ 증상을 겪는 이들이 적지 않다. 이는 전염성이 높은 편이고 음부, 음낭, 항문 주위에 바이러스가 침투하면서 발생한다. 잠복기간을 거친 후 좁쌀크기의 사마귀가 만져지는 증상으로 발생된다. 더불어 가렵거나 냄새가 나는 증상도 더해질 수 있다.
그러나 통증이 없다거나 병원을 가기 민망하다는 이유로 방치되는 사례가 많은 것이 곤지름증상이다. 이 경우 크기가 커지고 주위로 퍼져나갈 수도 있다. 매우 부드러운 병변에서 건드리면 피가 나오기도 한다.
스탠탑비뇨의학과 김도리 원장은 “피부가 약간 올라온 상태거나 편평한 모양을 하기도 하고,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같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크기도 매우 다양하며, 색깔은 분홍색이거나 흰색을 띠게 된다. 부드럽고 건드리면 쉽게 피가 나는데 때로는 아무런 증상 없이 출혈이나 분비물만 나오는 경우도 있다. 어떤 경우든 절대 방치하지 말고 초기 치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또 재발 확률이 높은 남자 곤지름은 정확하게 파괴하고 재발까지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빠르고 정확한 진단, 진단 결과에 따른 맞춤 치료, 곤지름 재발 방지를 위한 면역력 치료까지 철저하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
우선 철저한 곤지름 검사를 통한 진단은 육안 및 확대경을 이용해 항문 및 요도까지 세밀하게 점검하는 것을 기본으로, PCR검사(유전자증폭검사), 혈액검사 등이 실시된다. 스탠탑비뇨의학과 측에 따르면 이러한 검사는 하루만에 이뤄져야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다.
진단 이후 치료는 1회 내원으로 충분해야 한다는 설명. 진단 결과를 통해 증상 정도에 따른 정확한 치료가 요구되는데, 레이저를 통한 물리적 제거술, 환부를 얼려 증상을 제거하는 냉동요법, 초기 증상에 효과적인 약물 치료가 맞춤 적용된다.
특히 곤지름 크기가 작거나 발병 부위가 협소하면 단순히 바르는 연고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므로 초기 치료가 유리하다. 물론 증상이 심해진 상태라도 안전한 수술이 이뤄지는 환경에서 치료가 이뤄진다면 개선에 도움이 된다.
예컨대 곤지름 레이저치료 시에는 연기와 분진이 발생하며 이를 통해 곳곳에 바이러스가 확산될 우려가 있지만, 분진흡입설비를 통한다면 이러한 우려를 덜어내는 등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김 원장은 “방치할수록 환자가 더 심한 고통을 겪게 되는 것이 곤지름이다. 또한 전염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증상이 발견된다면 신속하게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를 받고, 그에 맞는 적합한 곤지름치료를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