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함현선 기자] 50대 주부 김모씨는 요즘 웃거나 기침을 할 때면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흘러나와 겉옷까지 적셔서 당황스럽다. 밤에 화장실에 가는 횟수도 늘었고, 외출할 때면 혹시 몰라 속옷을 챙기기도 한다. 병원을 찾은 임씨는 복압성 요실금으로 진단 받고, 요실금수술을 받기로 했다.
최근 국내 중년 층의 요실금 환자가 크게 늘어나면서 관리 및 치료 방법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국제요실금학회에서는 요실금을 '객관적으로 증명될 수 있고, 사회적이나 위생적으로 문제가 되는 소변의 불수의적인 유출'로 정의하고 있다.
요실금은 크게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 일류성 요실금 등으로 구분한다. 중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요실금은 복압성 요실금이다. 복압이 순간적으로 올라 소변이 새는 증상으로, 주로 줄넘기를 할 때, 웃거나 기침을 할 때 소변이 새는 것을 경험한다. 복압성요실금은 주로 여성이 임신이나 분만을 겪고 난 후, 골반 근육이 약화되고 이완되면서 방광과 요도가 함께 처지면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폐경 시기가 되면서 여성 호르몬이 감소해 나타나기도 한다.
절박성 요실금은 소변이 몹시 급해 화장실을 가는 도중 소변을 적시는 증상을 겪기 쉽고, 일류성 요실금은 방광출구가 좁아져 있거나 방광의 수축 기능이 약해져서 나타나는 질환이다. 이 밖에도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이 혼합된 복합성 요실금, 특별한 신경질환이나 정신질환이 있는 경우에 나타나는 심인성 요실금, 방광의 구조적 이상이나 기능 손실로 발생되는 진성요실금 등이 있다.
명동 여노피산부인과 강미지 대표원장은 "요실금은 삶의 질을 급격하게 떨어트리는 질환이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이제 요실금은 반드시 치료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라며, "요실금을 단순 노화 증상의 하나로 보고 방치했다간 자궁이나 방광 등의 골반 내 장기가 질 쪽으로 처지는 골반탈출증을 간과하거나, 야간뇨, 과민성방광 등의 배뇨장애 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 심한 경우 우울증으로 이어지기도 하므로 제대로 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수다"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요실금은 적절한 치료를 받을 경우, 대부분이 생활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호전되는 것으로 보고된다. 치료방법에는 대표적으로 요실금 수술이나 요실금필러 등이 적용된다. 요실금수술은 수면마취나 부분마취 하에 요도 밑에 인공테이프를 위치시켜 올려주는 미니슬링수술로 주로 시행되고 있다. 수술치료는 요역동학검사를 통해 보험 적용도 가능하며, 개인 차가 있으나 약 85~90%의 성공률을 보인다.
요실금필러는 수술적 교정이 어렵거나 수술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경우 활용할 수 있으며, 요도 주위에 안전한 성분의 필러를 주입해 요도를 좁혀줌으로써 요실금을 치료하는 효과를 보인다.
다만 요실금 치료는 개인의 증상에 따라 정확한 진단을 통해 수술이 진행되어야 하며, 자칫 과도한 진료를 시행할 경우 부작용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가 당부된다.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