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김필주 기자] 최근 3년간 국내 100대 건설사 중 산업재해로 인해 목숨을 잃은 노동자가 가장 많은 건설사는 대우건설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함께 이 기간 동안 건설현장에서 산업재해를 입은 노동자 수가 가장 많은 건설사는 GS건설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00대 건설사에서 사망한 노동자는 지난 2015년 총 87명, 2016년 총 95명, 2017년 총 107명으로 매년 증가했다.
이어서 재해자 역시 지난 2015년 총 1440명, 2016년 총 1644명, 2017년 총 1932명으로 급증하는 추세였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3년간 기록을 추산하면 이 기간 동안 국내 100대 건설사가 시공한 현장에서 사망한 노동자는 총 289명에 달했으며 산재인정은 총 5016건으로 집계됐다.
대기업이 직접 공사하는 현장에서도 월평균 8명 정도가 사망하고 139건의 산재가 발생했다는 게 송 의원측 설명이다.
산재발생 1위 기업은 대우건설로 3년간 사망 20명, 산재는 357명이 발생했다.
뒤를 이어 2위 GS건설(사망 15명, 산재 661명), 3위 대림산업(사망 14명, 산재 167명), 4위 포스코건설(사망 13명, 산재 133명), 5위 SK건설(사망 11명, 산재 200명), 6위 현대산업개발(사망 10명, 산재 69명), 7위 현대건설(사망 9명, 산재 273명), 8위 삼성물산(사망 9명, 산재 184명), 9위 롯데건설(사망 8명, 산재 208명), 10위 쌍용건설(사망 8명, 산재 26명) 순이다.
해당 기간 동안 전체 건설업 노동자가 사망한 수는 총 1442명으로 지난 2015년 437명, 2016년 499명, 2017년 506명이다. 건설현장에서의 사망자는 줄지 않고 매년 480명 이상 목숨을 잃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뿐만아니라 유관기관의 산재 미보고 의심 사업장 정보(건강보험자료, 요양신청서 자료, 119구급대 자료 등)를 입수해 지방관서 산업안전보건 감독관이 사업장의 산재 미보고 여부를 직접 조사하고 진정․제보, 사업장 감독 등을 통해서 고용노동부가 산재은폐를 직접 적발한 건수는 최근 3년간 총 3389건이나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동안 고용부가 적발한 건설업 산재 은폐 적발건수는 654건이다.
송 의원은 “대기업 건설사가 직접 시공하는 현장의 산재가 줄지 않고 오히려 늘고 있다”며 “건설현장 안전에 대한 관리감독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산재은폐를 시도하는 부도덕한 건설사는 퇴출시켜 마땅하다”며 “산재은폐가 반복되는 건설사는 지도 감독을 강화하는 등 특별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산업재해 은폐 폐단을 막기 위한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됐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건설현장에서의 산재 은폐가 다반사로 발생한다는 제보가 많다”고 지적했다.
김필주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