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김필주 기자] SKT‧KT‧LGU+ 이통 3사가 작년 이동통신매장 3만여 곳에 지급한 판매장려금이 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이통 3사가 지난 2017년 지급한 판매장려금은 당시 마케팅비용 약 8조원의 절반 달해 논란이 되고 있다.
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동안 SKT, KT, LGU+가 대리점과 판매점에 지급한 판매장려금은 총 3조9120억원이다.
이 기간 동안 마케팅비용은 총 7조9740억원으로 이통 3사가 이 때 지급한 판매장려금은 마케팅비용 대비 49.1%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자료에 의하면 이통 3사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약 10조원을 통신매장에 판매장려금으로 지급했다.
이통 3사의 판매장려금은 2015년 2조5470억원, 2016년 2조8980억원, 2017년 3조9120억원으로 3년간 판매장려금 규모는 총 9조3570억원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마케팅비용 중 판매장려금이 차지하는 비율도 해마다 높아졌다. 지난 2015년 이통 3사의 마케팅비용 가운데 판매장려금이 차지하는 비율은 32.4%였으나 2016년 38%, 2017년 49.1%까지 상승했다.
변 의원 측은 이통 3사의 연간 마케팅비용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판매장려금은 매년 증가하고 있어 이동통신시장에서 장려금 지급을 통한 이통 3사간 출혈경쟁이 심해지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2017년 기준 통신매장(대리점‧판매점)수는 2만9068개로 가전제품 소매업 매장 수(2016년 기준) 7359개에 비해 약 4배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통신매장은 휴대전화 단말기만 취급하고 있음에도 전자렌지, 가스렌지, 다리미 등 다양한 가전제품을 판매하는 매장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이에 대해 변 의원은 “현재의 통신매장 수를 가전제품 소매매장 수준으로 줄인다면 이동통신 이용자의 요금을 매월 약 5,000원 인하가 가능”하다고 추계했다.
또한 통신매장 수를 4분의 1 수준으로 줄인다면 대리점과 판매점으로 지급되는 판매장려금도 75%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변 의원은 지난 2017년 기준 이통 3사의 판매장려금 3조9120억원인데 통신매장을 현재기준 4분의 1로 효율화했을 때 이들 통신사는 2조9,340억원의 재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 이 재원을 가입자 통신비 인하에 사용한다면 가입자당 매월 약 5000원의 통신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변 의원은 “통신사 마케팅비용 중 절반이 통신매장에 지급되는 장려금으로 흘러갔다”며 “포화된 이동통신시장에서 통신사들의 출혈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서 그는 “최근 3년간 10조원에 달하는 판매장려금은 고스란히 이용자의 통신요금으로 전가된다”며 “이동통신 유통망으로 흘러가는 비용이 이용자의 혜택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이동통신 유통구조를 개선하고 통신사들이 장려금 지급을 통한 경쟁에서 요금인하 경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단말기 완전자급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필주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