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정부부처·공공기관

산악사고 안전에 빨간불..."국립공원 내 휴대전화 불통지역 많아"

주왕산, 지리산, 설악산 순으로 불통지역 많아

[웹이코노미=박지민 기자] 등산객들이 많이 찾는 국립공원 내 주요 산에서 휴대전화가 불통인 것으로 나타나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왕·과천)이 최근 국립공원관리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립공원 내 휴대전화 전파 미수신 지역 현황’에 따르면, 주왕산 전체 면적의 40%에 해당하는 지역이 휴대전화 통화불능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리산(28%), 설악산(25%), 경주국립공원(22%), 덕유산(21%), 태백산(21%), 속리산(17%), 소백산(16%), 한려해상(15%)이 뒤를 이었다. 국립공원 내 휴대전화 전파수신 여부는 탐방로 상에 200m~500m 간격으로 설치된 다목적 위치표지판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지난 2013년 소백산 국립공원에서 등산객이 의식을 잃고 쓰러졌으나 사고발생 지점이 휴대전화 통화불능지역이라 일행 중 1명이 인근 사찰까지 10여 분을 뛰어 내려와 사고신고를 했던 경우도 있었다.

 

 

 

신 의원은 “산 속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휴대전화 통화불능으로 응급구조의 골든타임을 놓쳐 사망하는 일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면서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공원 내 통화불능지역을 등산객들에게 미리 알려 피해를 예방하고, 산행을 자제하도록 안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