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이코노미 이주현 기자]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지난 11.7~11일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복합 경제위기에 따른 中企 금융이용 애로 실태조사」 결과를 16일발표했다.
조사결과,중소기업은 외부자금 조달 애로(복수응답)로 높은 대출금리(67.1%)를꼽아고금리 리스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중소기업들은 자금 조달 금리가 연초에 비해2.2%p 상승(2.9→5.1%)했다고 답해같은 기간 기준금리 상승폭(1.75%p)보다큰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자금 조달시 필요자금 대비 확보한 자금의 비중은 ‘21~40%’(34.8%),‘0~20%’(28.3%), ‘41~60%’(21.8%),‘61~80%’(10.8%), ‘81% 이상’(4.3%) 순으로63.1%에 달하는 기업이 필요자금의 40% 이하로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리금 상환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금리 상승률은 ‘2~3%p’(37.5%), ‘3~4%p’(28.6%),‘4%p 이상’(25.5%), ‘1~2%p’(6.8%),‘1%미만’(1.5%) 순으로조사됐다.
현재 가장 필요한 금융 정책으로응답 중소기업 80%가 금리 관련 대책인‘금리부담 완화 정책’(46.4%)과‘기준금리 이상 대출금리 인상 자제’(33.6%)를꼽았으며,다음으로는신규자금 대출 확대(10.6%), 대출금 장기분할 상환제도 마련(5.0%) 순으로 답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기준금리보다 가파르게 오르는 대출 금리로 인해 고금리 리스크는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차보전과 저금리 대환대출과 같은 정부의 적극적인금융 지원과금융권의 과도한대출금리 상승 자제를 통해 중소기업의 고금리 애로를 함께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