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정부부처·공공기관

인공임신중절, 7년새 70% 감소...낙태 방법은 수술 가장 많아

[웹이코노미=김민정 기자] 국내 가임여성의 인공임신중절(낙태) 건수가 최근 7년새 약 70%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를 발표, 2017년 15~44세 여성인구 1000명당 인공임신중절건수(인공임신중절률)은 4.8건으로 가장 최근인 2010년 15.8건보다 69.6% 감소했다고 밝혔다.

 

연령별 중절률을 고려하면 5만 66건, 5세 단위 연령 집단별 중절률 고려 땐 5만703건이다.

 

이는 피임 실천율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해당 연령 여성 수 자체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연구를 맡은 이소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구정책실 연구위원은 "피임 실천율의 증가가 가장 크다고 볼 수 있고 사후(응급) 피임약 활용, 만 15~44세 여성의 감소 등이 원인"이라며 "2011년 조사보다 감소한 것 중에서 가장 크게 볼 수 있는 것은 피임 실천율의 차이"라고 설명했다.

 

또 임신중절 여성의 평균 나이는 28세이며, 평균 1.4회 인공임신중절 수술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절반만 기혼이었다.

 

임신중절을 결심한 이유로는 '학업·직장 등 사회활동에 지장이 있을 것 같아서'라는 답변과 경제적 어려움, 자녀계획 등이 꼽혔다.

 

낙태 방법은 10명 가운데 9명(90.2%)인 682명이 수술만 받았다고 밝혔고, 자연유산유도약이나 자궁수축유발을 위해 위궤양에 쓰이는 약물 등을 사용한 경우는 9.9%(74명)이었다. 약물사용자 중 53명은 약물로 인공임신중절이 되지 않아 의료기관 등에서 추가로 수술을 받았다.

 

수술 지역은 주거지 근처가 64.%로 가장 많았고 주거지와 가까운 타 시·도 25.1%, 주거지와 먼 타 시·도 9.9%, 해외 0.3% 순이었다. 인공임신중절 비용은 30만~50만원 미만 41.7%, 50만~100만원 미만 32.1%, 30만원 미만 9.9% 등이었다.

 

다만 인공임신중절 이후에 적절한 휴식을 취한 경우는 47.7%로 절반이 채 안 돼 사후관리에 주의해야 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신체적 증상을 경험한 8.5% 중엔 43.8%만이 치료를 받았고 정신적 증상을 경험한 54.6%는 치료율이 14.8%에 불과했다. 치료를 받지 않은 건 '치료받을 정도로 증상이 심각하지 않아서'(46.3%),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22.8%), '치료받으러 의료기관에 가는 것이 부끄럽고 창피해서'(12.8%) 순이었다.

 

이소영 연구위원은 "위기상황을 예방하거나 위기상황에 있는 여성을 지원하기 위해 성교육 및 피임교육을 더욱 강화하고 인공임신중절전후의 체계적인 상담제도, 사회경제적인 어려움에 대한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조언했다.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