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 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 이하 경총)가 발표한 「2022년 무역수지 주요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난해 무역적자(△478억 달러)는 수입단가의 높은 상승(20.0%)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석탄, 석유, 가스 등 3대 에너지의 수입단가가 2021년 대비 64.5% 상승하면서, 3대 에너지 수입 증가액(785억 달러)이 지난해 우리 무역적자 규모(478억 달러)의 1.6배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무역수지 현황) 우리나라가 역대 최대 무역적자(△478억 달러)를 기록한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수입액은 총 7,314억 달러로 전년대비 18.9% 증가한 반면, 수출액은 총 6,836억 달러로 전년대비 6.1% 증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 무역흑자 규모가 가장 컸던 2017년(952억 달러 흑자)과 비교하면, 수입액은 52.8% 증가한 반면 수출액은 19.2% 증가에 그친 것이다.
(무역적자 주요 원인 분석) 지난해 무역적자는 높은 수입단가 상승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2021년 대비 2022년 우리나라 수출입 단가와 수출입 물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체 수입단가는 20.0% 오른 반면 수출단가는 7.3% 상승하는데 그쳤다. 수입물량(△0.9%)과 수출물량(△1.1%)은 모두 소폭 감소해 수출・수입물량 변화는 우리 무역적자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수입단가 및 물량 변화) 특히 높은 에너지가격 상승이 우리나라 수입단가 상승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3대 에너지(석탄‧석유‧가스)의 2022년 수입액은 2021년 대비 785억 달러 늘었는데, 수입물량은 3.2% 늘어난 반면 수입단가는 64.5%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난해 3대 에너지 수입 증가액(785억 달러)은 우리나라 전체 수입 증가액(1,163억 달러)의 67.5%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3대 에너지 수입 증가액(785억 달러)은 작년 우리나라 전체 무역적자(478억 달러)의 1.64배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지난해 우리 무역수지 적자의 주원인으로 작용했다.
(주력품목 수출단가 및 물량 변화) 반면,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메모리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집적회로*는 2022년에 수출단가(0.9%)와 수출물량(2.3%) 모두 전년대비 증가했지만, 수출단가가 환율 상승분(12.9%)보다 낮은 증가 폭을 기록하면서 지난해 무역수지에 기여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5대 무역적자국에 대한 무역수지 현황) 국가별로는, 2022년 우리나라의 5대 무역적자국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총 1,167억 달러로 2021년(908억 달러 적자)보다 적자 규모가 28.5%(259억 달러) 늘었다. 특히 산유국인 對사우디아라비아 무역적자 규모는 2021년 210억 달러에서 2022년 368억 달러로 75.6%(158억 달러)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경총 하상우 경제조사본부장은 “지난해 우리 경제가 역대 최대 무역적자를 기록했고, 올해 1분기 역시 반도체 수출 부진, 높은 에너지 가격 등 영향으로 무역적자가 지속되고 있어 기업들의 우려가 크다”면서, “향후 우리 기업이 세계 경제를 선도할 ‘Chokepoint’를 발굴·선점하여 향후 재편될 무역구조에서 한국이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