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김필주 기자] IBK투자증권 현직 센터장이 채용 비리로 구속기소된 임원을 위해 동료 직원들을 상대로 '영치금 모금' 캠페인을 벌였다는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26일 '경향신문'은 IBK투자증권 현직 센터장 A씨가 지난 2016·2017년 채용비리를 저지른 혐의를 받고 있는 임원들의 법률서비스비용 마련을 위해 동료들을 상대로 모금 운동에 나선 정황을 파악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 1월 서울남부지검은 지난 2016~2017년 상급자 지인 등으로부터 청탁을 받아 지원자의 점수 등을 조작한 혐의(업무방해)를 받고 있는 신입사원 채용 업무 총괄담당자 박모 상무(당시 경영인프라본부장)를 구속기소했다.
이때 검찰은 채용비리 당시 각각 인사팀장을 맡았던 김모·신모 부장도 함께 불구속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에게는 전직 차관부터 부사장의 대학원 지도교수, 인사팀장의 대학시절 하숙집 아주머니, 같은 인사팀 직원의 남자친구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 채용 청탁이 이뤄졌다.
보도에 따르면 A씨는 구속 중인 박 상무의 영치금과 불구속 상태인 김 부장과 신 부장 명의 법률서비스비용 마련을 위한 모금 운동에 나섰다.
A씨는 이들 3명과 과거 함께 근무한 경험이 있거나 친분 관계가 있다고 판단한 직원들에게 동료애를 강조하면서 모금 운동을 진행하겠다며 동참해달라는 내용의 문자를 전송했고 실제 모금운동은 지난 10일까지 진행됐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A씨는 회사와 무관한 개인적 모금이며 단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료를 위해 자발적 참여를 기반으로 한 모금이라고 경향신문에 해명했다.
그러나 지난 9일 올라온 IBK투자증권 채용비리 관련 청와대 청원 댓글에는 "저번엔 탄원서 모집하더니 이번엔 돈입니까 떳떳하면 공개적으로 하면 될 일을... 적폐는 항상존재하겠지만 10년 밖에 안된 회사가 뿌리까지 적폐가 박혀있네요", "동료를 생각하는 마음이면 혼자하면 되지 왜 협박성 문자를 보내서 강제로 동원시키나요?" 등의 댓글이 달렸다.
채용비리로 기소된 임직원 3명은 현재까지 IBK투자증권에 근무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속상태인 박 상무는 직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기소 당시 인사부장을 맡았던 김 부장은 타부서로 발령 조치된 상태다.
IBK투자증권 관계자는 “해고 등 인사 불이익을 준 뒤 재판에서 무죄가 나올 경우 부당노동행위 소지가 있다”며 “현재는 재판 결과를 기다리는 상황”이라고 경향신문에 해명했다.
검찰은 작년 11월 7일 채용비리 관련 증거확보를 위해 서울 여의도 IBK본사를 압수수색한 바 있다.
박 부장을 비롯한 IBK투자증권 인사 담당자들은 여성 지원자 20명을 차별해 남녀고용평등법 위반 혐의도 받고 있다.
김필주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