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김민정 기자] 27일 오후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전주시는 '컨소시엄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장애인고용공단과 전주시가 지역 장애인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컨소시엄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조기설립에 공동의 힘을 모아가기로 손 잡은 것이다.
기존 장애인 표준사업장은 민간기업이 주도해 설립해 왔다.
지자체 또는 공공기관이 1개 이상의 중소기업과 공동 투자해 장애인 표준사업장을 설립하는 컨소시엄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주시는 참여 중소기업을 모집 해 올해 하반기 법인설립을 완료한 후 2020년도에 컨소시엄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을 설립할 예정이다.
또한 지역 특성에 맞게 '전주 한옥마을 연계형 사업 아이템'을 채택해 장애인 고용 직무를 발굴, 문화재 관리직, 관광객 안내직, 물품판매직, 환경정비직 등의 직무를 시작으로 점차 고용 직무를 확대, 발달장애인을 포함한 60명 이상의 장애인 일자리를 만들어 나아갈 계획이다.
장애인고용공단 조종란 이사장은 "이번 전주시와의 컨소시엄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협약은 지자체 최초 협약인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국가 및 지자체의 주도적인 장애인 고용 실천을 통해 국가의 사회적 책임 실천에 불을 당기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주시 김승수 시장은 "이번 컨소시엄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협약을 시작으로 전주 지역 장애인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일자리 창출에 적극 매진할 것"이라며 "국내 지자체 최초로 컨소시엄형 표준사업장을 모범적으로 설립하여 다른 지자체 및 공공기관에 좋은 선례를 남기겠다"고 밝혔다.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