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 박진 기자] 대부분의 공인중개사들이 하반기 주택시장에 대해 ‘보합’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한국감정원은 전국 6000여 협력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2019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보합을 전망한 공인중개사가 전체의 57.5%에 달했다고 3일 밝혔다. 이어 하락이 34.3%, 상승이 8.2%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매매시장에서는 수도권(63.2%)과 서울(68.7%), 지방(52.3%) 모두 보합 응답 비율이 과반 이상으로 나타났다.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강남을 중심으로 일부 상승세로 돌아섰으나 정부 규제 등으로 본격 상승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전망과 일맥상통한다.
그러나 서울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은 19.3%로, 하락할 것(12.0%)이라는 응답자보다 많았다.
하락을 전망하는 이유에 대해 △대출규제 강화에 따른 차입여력 축소로 수요 감소(41.3%) △공급물량 증가(34.7%) △지역 주요산업 및 경기 침체(12.3%) △보유세 등 세제강화 영향에 따른 시장 위축(5.8%)이라고 답했다.
반면 상승 전망 이유는 △하락세 지속에 따른 가격 저점인식(30.0%) △개발호재(19.1%) △대체투자처 부재로 부동자금 지속 유입(15.0%) △신규 분양시장 호조 영향으로 기존 주택가격 동반상승(11.8%) 순이다.
전세시장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가격 전망은 보합 응답(64.3%)이 우세한 가운데 지역별로 수도권(65.6%)·서울(71.1%)·지방(63.1%) 모두 보합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고, 상승보다는 하락 전망이 우세했다.
월세시장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가격 전망은 보합 응답(66.3%)이 많았다. 지역별로 수도권·서울·지방 모두 대다수 보합 내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대출규제, 세제강화 등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정부정책과 더불어 대내외 경기, 금리 변동 가능성, 신규 공급물량 등 다양한 요인으로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2019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에 대해 일선 공인중개사들의 의견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됐다.박진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