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전기·전자·화학

지난해 韓 전자산업 생산량 202조...日 꺾고 전세계 3위 등극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 9.0%...‘반도체’ 편중 현상 풀어야 할 숙제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한국이 지난해 전세계 전자업계에서 중국과 미국에 이어 3위 생산국 지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반도체 등 전자부품에 대한 편중 현상은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았다.

 

30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가 발간한 '세계 전자산업 주요국 생산동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전자산업 생산액은 1711억100만달러(약 202조7000억원)로 집계됐다.

 

한국은 전세계 전자업계에서 8.8%의 비중을 차지해 일본을 제치고 3위로 올라섰다. 이는 5년전 2013년(1111억7900만달러)과 비교하면 53.3% 늘어난 수치다. 1위는 중국(7172억6600달러·37.2%)이며 2위는 미국(2454만2200만달러·12.6%)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9.0%에 달해 상위 20개국 가운데 베트남(11.7%)과 인도(10.9%)에 이어 세번째로 높았다. 중국과 미국은 각각 2.9%와 1.0%였고, 일본은 -2.3%를 기록해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지난해 전체 전자산업 내 전자부품 비중이 77.3%로 편중돼 있는 것은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5년 전보다 18.8%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2017·2018년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의 호황이 이어지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실적을 견인해 전자부품의 입지가 확대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중국의 경우 가장 비중이 큰 컴퓨터 분야가 전체의 34.2%를 차지했다. 미국은 무선통신기기 분야의 비중이 최대였으나 32.3%에 그치며 분야별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일본은 전자부품 분야 비중이 56.6%로 가장 높았다.

 

업계에서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뤄진 연구개발(R&D) 및 설비 투자가 한국의 전자산업 생산액을 확대했으나, 반도체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중국, 미국 등과 비교했을 때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경욱 웹이코노미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