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지난해 가로수길에 애플스토어 1호점을 낸 애플이 국내 진출 20여년 만에 처음으로 고용 인원을 공개했다. 애플은 국내에서 직·간접적으로 창출한 일자리 수가 32만5000개에 달하며, 한국 앱 개발자 및 업체가 앱스토어를 통해 4조7000억원의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고 전했다. 국내 철강기업 포스코는 아이폰X부터 직접 개발한 신소재 스테인리스를 납품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19일 애플은 애플코리아 공식 홈페이지에 고용 창출 페이지를 개설해 지난 6월 30일 기준 한국 지사에 직접 고용된 직원 수가 500명이라고 밝혔다. 애플은 "20여년 전 단 2명의 직원으로 시작했지만 현재 디자이너, 제작 전문가, 리테일 직원, 고객 서비스 담당자,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등 5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10년 이후 한국 직원 증가율은 1500%로, 지난해 가로수길 애플스토어의 개장 준비를 위해 2017년부터 직원을 급격히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애플은 이와 함께 국내에서 창출한 일자리 수가 32만5000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협력업체를 통해 12만5000여명, 앱스토어 생태계를 통해 20만명이다. 애플은 또 지난 2008년 이후 앱 스토어를 통해 한국 개발자들이 전 세계적으로 번 수익은 4조7000억원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고용 성과의 근거는 2018년 애플이 상품 및 서비스와 관련해 한국 내 직간접적으로 투자한 총액을 세계산업연관표(WIOD)의 고용승수에 적용해 일자리 수로 산출한 것이다.
구체적인 국내 협력업체 수와 사례도 처음으로 공개했다. 애플은 국내 협력업체 200여개사와 일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 6만명, 도매 및 소매·차량 수리 2만명, 전문·과학 및 기술 활동 1만명, 행정 및 지원 서비스 활동 8000명 등의 일자리가 창출됐다고 밝혔다.
그동안 보안상 비밀에 부쳐진 협력업체 일부도 공개됐다. 포스코는 지난 2016년부터 초청정 비자성 스테인리스를 개발했다. 해당 신소재는 아이폰X부터 도입됐으며 차세대 아이폰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이 밖에 카카오뱅크·넷마블·젤리버스·플렉슬·어반베이스 등 앱스토어에서 활동하는 한국 기업들도 홈페이지에 소개했다.
조경욱 웹이코노미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