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시멘트업계가 일본산 석탄재 대신 국내산 석탄재 또는 다른 원료로 대체해 사용할 예정이다.
한국시멘트협회는 19일 입장문을 통해 "지난 8일 환경부가 발표한 수입석탄재 환경안전관리 강화방안에 적극 협조할 계획"이라며 "수입석탄재를 국내산 석탄재나 다른 원료로 대체해 사용하겠다"고 전했다.
석탄재는 시멘트 원료인 점토질 대신 배합돼 사용된다. 지난해 석탄재 사용량 315만톤 중 40% 수준인 128만톤이 일본에서 수입됐다. 석탄재는 제철소에서 나오는 슬래그처럼 전량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이다.
협회는 "제도가 본격 시행되면 시멘트업계는 국내 석탄재 수급 불안정으로 원료 조달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면서도 "발전사와 협력해 국내산 석탄재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늘려나가는 한편 천연자원인 점토광산 개발 등 대체원료의 안정적인 확보에 적극 나서겠다"고 설명했다.
또 협회는 그동안 들여온 일본산 석탄재에 대한 안전도에 이상이 없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협회는 "지금까지 수입 석탄재를 들여오는 과정에서 통관 전·후 방사선 검사를 비롯해 공인기관의 방사능 검사, 지방환경청의 방사선 모니터링 등 방사선·방사능 검사를 철저하게 실시해왔다"며 "그 결과를 업체별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고 그동안 단 한 차례도 법적 기준치를 초과한 사례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이번 조치로 국내 경제에 미치는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정책적인 배려 등 관심과 지원을 부탁한다"며 "시멘트업계도 정부 정책에 따라 철저한 환경안전관리로 국민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조경욱 웹이코노미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