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가 2월 28일부터 3월 3일까지 총 4일간 ‘고래잇 페스타 스프링 매직 세일’을 진행한다. 3월 행사는 고래잇 페스타의 키워드인 ‘최저가 도전’, ‘단독’에 이어 보다 많은 고객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물량 압도’까지 더해진다. 고래잇 페스타는 이마트가 전략적 가격투자를 통해 경쟁력 있는 상품을 선보이는 대형행사로, 매 행사별 매출이 각 지난해 동기 대비 이마트 매출 신장율 기준으로 1월(1/1~5, 총 5일간) 43%, 2월(2/14~16, 총 3일간) 82% 증가하는 기록을 세우고 있다. 이에 3월에도 이마트만의 방식으로 특별한 상품과 가격을 모은 ‘고래잇템’ 23종과 50% 할인 등 업계 최저가 수준의 ‘응(%) 가격’ 행사품목을 준비하여 먹거리, 생필품 물가안정에 총력을 다하겠다는 취지다. 먼저, ‘고래잇템’ 대표상품인 삼겹살/목심은 삼삼데이를 맞이하여 초저가부터 프리미엄까지 선택지를 다양화했다. 각 행사카드 전액 결제 시 행사가는 ‘수입 돈 삼겹살/목심’ 779원, ‘국내산 1등급 선별 돈 삼겹살/목심’은 966원에 판매하고, 프리미엄 특수 품종 ‘금한돈(얼룩돼지) 삼겹살/목심’은 1,788원, 오프라인 단독 판매 ‘우리 흑돈(흑돼지) 삼겹살/목심’은 1,848원에 판매한다. 수입 삼겹살 가격인 ‘100g당 779원’은 이마트에서 최근 볼 수 없었던 최저가 수준의 가격이며, 국내산 삼겹살 가격 또한 지난해 삼삼데이 이마트 행사가인 100g당 1,180원 대비 18%가량 낮췄으나 물량은 2배 이상 확대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이번 행사기간 동안 오프라인 동업계에서 가격대응을 한다면, 이마트 또한 강력하게 가격대응을 할 방침” 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와 KOTRA(사장 강경성)는 이달 26일부터 외투기업의 비즈니스 활동을 지원하고 지역 투자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찾아가는 애로해소, 외투기업 현장애로지원반(이하 현장애로지원반)’을 가동한다. 충남 소재 외투기업 방문을 시작으로 올 상반기 중 10회에 걸쳐 운영할 예정이며, 지자체와 정부 부처, 그리고 관계기관이 원팀이 되어 외투기업 현장을 찾아 애로를 청취하고 지원 방안을 논의한다. 현장애로지원반은 기업 애로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를 통해 사전에 애로사항을 접수하고 검토한 후, 현장에서 이를 해소한다. 규제개선이 필요한 중장기 과제는 전담 PM을 지정하여 소관 부처에 행정조치를 건의하고, 사후 모니터링도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해 외국인 투자 신고액은 사상 최대인 345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3년 말 기준 외투기업은 국내 총 사업체의 0.35%에 불과하지만, 매출은 10.9%, 수출은 20.8%, 직접 고용효과는 5.5%에 달한다. 외투기업이 한국경제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생산과 수출, 고용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현장애로지원반은 ▲ 대규모 투자를 진행한 외투기업 ▲ 추가 투자 예정인 기업 ▲ 지역 특화산업 및 첨단산업, 공급망과 연계된 기업을 중심으로 직접 찾아가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신규 투자의 걸림돌을 제거하고 외국인 투자를 촉진하며, 국내 산업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KOTRA에서는 기업 애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관리할 예정이다. 애로가 해소된 사례는 데이터로 정리해 다른 지자체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확산할 방침이다. 김창희 KOTRA 종합행정지원센터장은 현장애로지원반 활동을 통해, “글로벌 통상 환경의 변화 속에서 외투기업을 찾아가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애로 해소를 지원함으로써, 외투기업들의 안정적인 비즈니스 활동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KOTRA(사장 강경성)는 25일 서울 서초구 KOTRA 피칭라운지에서 청년인턴 30명과 함께 ‘청년인턴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나도 되고 싶다, 글로비’라는 주제로, 기관장이 직접 청년들과의 대화를 통해 KOTRA에서 경험한 업무 소감을 나누고, 기관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가는 시간을 가졌다. KOTRA는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들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대한민국의 미래인 우리 청년들이 KOTRA에서 일자리 경험을 쌓아 더 많은 국내외 우수 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KOTRA는 △청년인턴, △산학협력인턴, △현장실습생(해외인턴) 제도를 운영하며, 2024년 기준 국내외 377명의 인턴이 KOTRA에서 글로벌 비즈니스 업무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우선 청년인턴 제도를 통해 본사·지방지원본부 등 국내 조직망에서 매년 200명 이상을 채용하여(‘24년 227명) 무역·투자 업무를 지원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청년인턴 경험이 있는 8명이 KOTRA 정규직으로 입사하기도 했다. 산학협력인턴제도는 울산대, 금오공대 등 지방대학과 협력을 통해 매년 약 30여명을 선발하고(’24년 39명) 있다. 기계·자동차·항공 등 다양한 공학 전공을 가진 지역인재들이 글로벌 기업과의 비즈니스 경험을 쌓아 기술융합형 인재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끝으로 KOTRA 129개 해외 조직망을 활용한 현장실습생 제도는 청년들이 5개월간 KOTRA 무역관에서 직접 근무할 수 있는 제도이다. 특히, 2024년에는 현장실습생 파견 규모를 전년 대비 대폭 확대(29개 무역관 42명 → 42개 무역관 111명)하여, 더 많은 청년에게 다양한 문화와 해외시장 경험을 제공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청년인턴 A군은 “KOTRA 근무를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를 경험할 수 있어 매우 유익했고, 향후 취업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OTRA는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을 반영해 향후 청년들과의 소통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취임 후 다양한 조직원과의 소통의 자리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1월 취임 첫날부터 20~30대 초급직원과의 대화를 시작으로 12월 육아 워킹맘·대디 직원, 올해 1월에는 고객센터 직원, 신입사원과의 대화를 마련하는 등, 세대·직급을 가리지 않고 활발한 소통을 이어가는 중이다. KOTRA는 계속해서 청년들의 일자리 경험과 취업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청년들에게 다양한 비즈니스 경험을 통해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우리의 중요한 역할”이라며, “청년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KOTRA가 그들의 꿈을 지원하는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OIL(대표: 안와르 알 히즈아지)은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주관 ‘2025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에서 7년 연속 All Star 30(30대 최우수기업) 및 9년 연속 정유산업부문 1위에 선정되었다.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은 약 12,000명의 애널리스트, 업계종사자 및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혁신능력, 고객 가치, 이미지 가치 등 6개 분야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기업 전체의 가치영역에 대한 종합평가를 통하여 선정되었다. S-OIL은 고품질 제품과 서비스, 뛰어난 고객만족활동, 그리고 사회공헌과 환경친화 경영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S-OIL은 ‘고객은 회사의 존재이유’라는 기본철학에 바탕을 둔 고객중심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수도권/남부권 환경품질등급평가에서 최고등급을 획득한 고품질의 휘발유/경유를 공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업계 최고수준의 포인트 적립혜택(리터당 2~4원)의 보너스카드, 탄소중립포인트 적립 ‘전자영수증’, ‘빠른주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MY S-OIL APP’, 정품/정량 보증 ‘믿음가득주유소’, 세련된 외관과 친환경 자재/조명을 적용한 주유소 Signage 등으로 고객 만족을 목표로 한 체계적인 소비자마케팅 활동을 시행하고 있다. 그리고 S-OIL은 효과성, 적시성, 수혜자중심이라는 3대원칙 하에 소외이웃, 지역사회, 영웅, 환경의 4대 지킴이 캠페인을 중심으로 사회공헌활동을 24년간 지속하면서 약 1,500억원을 기부했다. 또한 2020년부터 장애인, 임산부, 일시부상자 등의 주유를 돕는 ‘주유약자도움서비스’ 캠페인을 전국 700여개 셀프주유소에서 시행하고 있다. 이처럼 환경, 사회, 이해관계자를 위한 체계적인 ESG경영을 통하여 최고권위를 자랑하는 ‘DJSI(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 월드 지수’에 15년 연속 선정되었다. S-OIL 관계자는 “이번 수상은 회사의 경쟁력과 진정성을 소비자들로부터 인정받은 것으로, 앞으로도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신뢰받는 에너지 화학기업기업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SK그룹 CEO들은 주주와 고객 등 자본시장의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SK에 던지는 질문에 적극 화답하고, 시장의 기대에 맞는 성과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서 SK CEO들은 관세 등 통상환경 변화, 인플레이션, AI 등 ‘삼각파도’의 영향에 맞서 기민한 대응이 절실하다는 것에 인식을 같이 한 뒤, 운영개선(Operation Improvement)을 고도화해 본원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SK그룹은 25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최창원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주재로 열린 2월 수펙스추구협의회에서 SK㈜ 장용호 CEO, SK이노베이션 박상규 CEO, SK하이닉스 곽노정 CEO, SK텔레콤 유영상 CEO 등 주요 계열사 CEO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 같은 방향성에 공감하고 실행 의지를 다졌다고 밝혔다. 수펙스추구협의회는 ‘따로 또 같이’ 문화에 기반한 그룹 최고협의기구로, 매월 한차례 모여 그룹 내 다양한 현안을 함께 논의하고 시너지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CEO들은 지난해 추진한 리밸런싱의 경과를 점검하는 시간을 먼저 가졌다. SK그룹은 지난해부터 진행하고 있는 재무구조 및 사업구조 강화에 이은 운영 효율화로 실적 개선 흐름을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이에 각 계열사는 앞으로 운영 효율화에 더욱 집중해 체질을 혁신하고 AI 등 미래 시장을 선점할 체력을 비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CEO들은 최근의 녹록지 않은 경영환경 또한 공유했다. 전기차 배터리 사업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현상의 지속, 고조되는 석유화학 업종 불황 등 그룹의 주요 사업과 관련해 외부의 우려가 있다는 것에도 인식을 같이 했다. 최창원 의장은 이날 회의에서 “삼각파도 등 급변하는 세계 정세 속에서 이해관계자들은 SK에 다양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며 “리더들이 질문을 회피하지 않고, 용기를 갖춰 해법을 찾아내 돌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최 의장은 이어 ▲반도체 사업의 지속적인 혁신 ▲배터리 밸류체인 캐즘 극복 ▲재무건전성 지속 강화 ▲리더들의 ‘기본과 원칙’ 리더십 복귀 등을 SK그룹이 직면한 주요 당면 과제로 꼽았다. 이에 CEO들은 시장을 비롯한 이해관계자들의 질문 및 우려에 대한 해법을 지속적으로 찾아 답하는 것이 경영의 본질이고, 자본시장에 대한 책무라는 취지에 공감하고, 각 사와 리더에게 주어진 과제를 책임감 있게 풀어나감으로써 기대에 부응하자는 것에 뜻을 모았다. 특히 미래 대비를 위해 올해도 운영개선(O/I)에 나서 본원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 성장 분야인 AI 시장 선점 노력을 속도감 있게 진행하기로 결의했다. 최태원 SK 회장은 지난 1월 신년사에서 "본원적 경쟁력은 외부 환경에 흔들리지 않으면서 본질적으로 보유한 근본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의미한다"며 "보다 신속하게 운영개선에 나서고 경영 내실을 강화하게 되면 본원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CEO 들은 회의에서 “운영개선은 기본과 원칙의 문제이며 이를 통한 비용 절감과 본원적 경쟁력 강화가 동시에 필요하다”는 등의 의견을 제시하며 열띤 논의를 진행했다. 아울러 CEO들이 이해관계자 기대에 부응해 변화를 주도하고 실행 속도를 높여가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에 인식을 같이 했다. 최 의장은 마무리 발언에서 “리더들이 업의 핵심과 본질을 짚고 해법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그 어느 때보다 우리 스스로를 경계해야 할 시점”이라며 “솔선수범 리더십과 SKMS(SK Management SystemᆞSK그룹 고유의 경영철학) 회복을 바탕으로 성과를 실현해 나가자”고 말했다.
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이 오는 25일부터 ‘2025년 상반기 신입행원 채용’을 시작해 약 190명의 인재를 선발한다고 밝혔다. 이번 채용은 △기업금융 △개인금융 △지역인재 △우리 히어로 △IT/디지털 총 5개 부문으로 진행되며, 지역인재 부문은 5개 지역으로 세분화되어 실시된다. 서류 접수 기간은 2월 25일부터 3월 10일까지이며, 우리은행 채용 홈페이지에서 지원 가능하다. 채용은 △서류전형 △1차/2차/최종면접 순으로 진행되며, IT/디지털 부문의 경우 코딩테스트가 추가된다. 총 3번의 면접전형을 통해 직무역량 및 금융인으로서 갖춰야 할 소양과 인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최종 선발된 인재는 입행 후 영업전문인력 선발 과정인 ‘차세대 RM(기업금융)·개인RM(개인금융)·PB(자산관리) 사전양성과정’공모 지원을 통해 금융전문가로 성장할 기회를 얻는다. 우리은행은 사회적 가치 기반 채용의 일환으로 △장애인 등 사회적 배려대상 △국가보훈대상자 등 국가적 기여대상자들을 우대하여 채용한다. 또한 전역(예정) 장교들에게 새로운 출발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한 ‘우리 히어로’부문 채용도 지속 실시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올바른 품성을 가진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를 채용할 계획”이라며, “우리은행의 미래를 이끌어 갈 인재들의 많은 관심과 지원을 바란다”고 밝혔다.
LG전자(대표이사 조주완)가 현지시간 25일부터 27일까지 美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미국 최대 디자인·건축 박람회 ‘DCW(Design & Construction Week) 2025’에 참가해 B2B 생활가전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DCW’는 미국주방욕실협회(NKBA)가 주최하는 주방∙욕실 전시회 ‘KBIS(The Kitchen & Bath Industry Show)’와 전미주택건설협회(NAHB)가 주최하는 국제 건축 전시회 ‘IBS(International Builders’ Show)’를 일컫는 통합 전시 명칭이다. LG전자는 올해 처음으로 ‘KBIS 2025’와 ‘IBS 2025’에 동시 출격하며 미국 B2B 생활가전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한다. LG전자의 역대 최대 규모(1,282㎡) 전시 공간에서 B2B 시장을 겨냥한 ‘토털 공간 솔루션’을 선보이는 동시에, 초(超)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SKS’와 고효율 프리미엄 가전 라인업을 전시한다. LG전자 HS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은 “고객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이어가며 B2B 생활가전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워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첫 참가하는 ‘IBS’에서 美 B2B 생활가전 시장 고객들과 접점 확대 LG전자는 올해 처음으로 ‘IBS 2025’에 참가, 다양한 생활 환경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가전, 냉난방공조, IoT 기술 등을 맞춤형으로 제안하는 ‘토털 공간 솔루션’을 소개한다. ‘IBS 2025’는 미국 최대 규모의 국제 건축 전시회로, 주택 건축 및 건설, 인테리어 등 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다양한 제품과 기술을 선보이는 자리다. LG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260㎡ 규모의 부스를 설치해 단독주택, 아파트, 원룸 등 다양한 주거 형태에 꼭 맞는 생활가전들을 보여주고, 히트펌프 등 핵심 부품 기술력을 알린다. 특히 LG 씽큐(LG ThinQ) 앱과 연동해 실시간으로 전기 사용량을 확인하고 외부에서도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플러그’, 집 안 조명을 켜거나 끌 수 있는 ‘스마트 스위치’ 외에도 온습도 센서, 모션 센서 등 등 AI 홈 구현을 위한 다양한 IoT 제품들도 선보인다. B2B 생활가전 시장에서도 AI 홈 솔루션을 활용한 사업 기회를 보여줄 계획이다. 또, 전시 부스 중심에 빌더 전문 영업 조직인 ‘LG 프로 빌더’ 구성원들이 태블릿 PC를 활용해 제품과 솔루션을 설명하고 상담하는 자리도 마련해 즉석에서 비즈니스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세심하게 준비했다. 가전부터 공조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제품 라인업으로 생활 공간과 가전이 조화를 이루는 솔루션을 소개하는 자리로 활용한다. ‘KBIS 2025’는 초프리미엄 빌트인·고효율 라인업으로 프리미엄 주방 가전 경험 제시 ‘KBIS 2025’에는 1,022m² 규모의 전시 부스에 초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브랜드 ‘SKS’와 고효율 프리미엄 가전을 선보이며 프리미엄 주방 가전 경험을 제시한다. LG전자의 핵심 부품 기술력과 이를 적용한 제품 라인업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했다. 먼저 다양한 연령대와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각기 다른 분위기로 꾸민 공간에서 초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브랜드 ‘SKS’의 신규 라인업을 최초 공개한다. LG전자는 최근 초프리미엄 빌트인 주방가전 브랜드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SIGNATURE KITCHEN SUITE)’를 ‘SKS’로 리브랜딩 했다. ‘요리에 진정성을 담는다(True to Food)’라는 기존 브랜드 철학을 계승하면서도, 고객에게 직관적인 ‘SKS’로 명칭을 변경한 것이 골자다. 대표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조리대 안에 넣을 수 있는 ‘일체형 후드’와 ‘히든 인덕션’을 적용한 아일랜드 시스템 콘셉트의 제품이 전시된다. 제품의 모습마저 숨겨 주방이라는 공간의 고객경험을 최우선으로 한 제품이다. 또 상판 어디에나 냄비, 프라이팬 등 인덕션 용기를 놓아도 요리가 되는 올프리 인덕션과 위에는 인덕션, 아래는 오븐이 위치한 프로레인지 오븐을 결합한 36인치 ‘쿡존프리 인덕션 프로레인지’도 첫 선을 보인다. 해당 제품은 고메(Gourmet) AI 기능을 탑재해 고객이 LG 씽큐 앱으로 오븐 내부 요리 과정을 실시간으로 보며 영상, 사진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핵심 부품 기술력 ‘코어테크(Core Tech)’로 본원 성능을 강화한 고효율 프리미엄 가전 라인업도 눈길을 끈다. 히트펌프 건조기 라인업은 듀얼 인버터 히트펌프를 적용해 건조 성능과 에너지 효율이 뛰어날 뿐 아니라, AI DD모터를 탑재해 AI가 옷감의 종류와 무게를 분석하여 더욱 섬세한 움직임을 구현하도록 해 옷감 수축도 줄여준다. 또 새로운 힌지(제로 클리어런스·Zero Clearance) 기술로 공간 효율성을 높인 핏 앤 맥스(Fit & Max) 냉장고도 전시한다. 냉장고와 벽 사이 틈을 최소화한 제품으로, 500원짜리 동전 2개 두께인 4㎜의 간격만 있으면 안전하게 설치, 이동이 가능하다. LG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공감지능(Affectionate Intelligence)이 적용된 ‘LG 씽큐’ 및 ‘씽큐 온’과 연계한 AI 홈의 모습도 보여줬다. 특히 전시장 곳곳에 AI 홈 플랫폼 LG 씽큐를 활용해 △기존 가전에 새로운 AI 기능을 업그레이드 하는 ‘씽큐 업(ThinQ UP)’ △고장이나 이상징후 등 제품의 상태를 손쉽게 확인하고 관리하는 ‘씽큐 케어(ThinQ Care)’ 등 관람객들이 AI 홈을 체험할 수 있도록 공간을 조성했다.
SK스퀘어(대표이사 사장 한명진)가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2024년 매출 1조9,066억원, 영업이익 3조9,126억원, 순이익 3조6,505억원을 달성했다고 25일 밝혔다. SK스퀘어는 자회사 SK하이닉스의 지분법 이익 증가와 ICT 포트폴리오 손익 개선 성과에 힘입어, ‘21년 11월 출범 후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으며 직전 연도 대비 흑자 전환 했다. 이는 SK그룹 기조에 맞춘 수익성 중심 경영전략이 주효했기 때문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SK스퀘어의 ‘24년 분기별 순이익은 1분기 3,333억원, 2분기 7,288억원, 3분기 1조1,292억원, 4분기 1조4,592억원으로 매 분기 증가했다. SK스퀘어는 주요 ICT 포트폴리오의 합산 영업손실을 ‘23년 -2,871억원에서 ‘24년 -1,941억원으로 32%(+930억원) 개선하며 본원적 사업 경쟁력을 강화했다. 특히 티맵모빌리티와 11번가는 ‘24년 영업손실을 직전 연도 대비 절반 가까이 축소했으며, 올해 연간 EBITDA 흑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먼저 티맵모빌리티는 TMAP 오토, 안전운전보험(UBI), 광고 등 성장성과 수익성이 높은 모빌리티 데이터 사업을 ‘23년 대비 21% 성장시키며, AI 기반 모빌리티 데이터 기업으로 빠르게 탈바꿈하는 성과를 거뒀다. ‘24년 매출은 3,226억원으로 직전 연도 대비 355억원 증가했으며, 영업손실은 -434억원으로 356억원 개선했다. 티맵모빌리티는 올해 AI 기반 장소추천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다. 11번가는 오픈마켓과 리테일 사업을 수익성 좋은 상품 카테고리로 재편하며 질적 성장을 이어 나갔다. 오픈마켓 부문은 지난해 3월부터 올해 1월까지 11개월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했으며, 직매입 사업은 대폭 효율화 했다. 그 결과로 ‘24년 매출은 5,618억원으로 약 30% 줄었지만, 영업손실은 -754억원으로 큰 폭(+504억원)으로 개선했다. 11번가는 올해 셀러의 매출을 높일 수 있도록 ‘셀러 지향적 플랫폼’을 한층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콘텐츠웨이브는 지난해 11월 SK스퀘어와 CJ ENM으로부터 웨이브-티빙의 사업결합을 위해 각각 1,500억원, 1,000억원을 투자 받았다. 이로써 웨이브는 기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향후 투자재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웨이브는 티빙과 결합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K-OTT를 출범시켜 이용자에게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SK스퀘어는 지난해 비핵심자산 유동화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며 ▲SK스퀘어 보유 크래프톤 지분 매각(현금유입 2,625억원) ▲티맵모빌리티의 우티(UT) 지분 매각 ▲드림어스컴퍼니의 아이리버 사업부문 매각 ▲원스토어의 콘텐츠 자회사 로크미디어 매각 등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이러한 경영성과에 힘입어 SK스퀘어의 시가총액은 어제 24일 기준 13조744억원으로 1년여 만에 약 2배 상승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SK스퀘어의 포트폴리오 수익성 개선 및 리밸런싱 성과와 적극적인 밸류업(기업가치제고) 계획 실행 등이 자본시장에서 호평을 받으며 주가에 반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SK스퀘어는 지난해 11월 기업가치제고 계획을 발표했으며,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으로부터 비금융권 최고 A등급과 함께 ‘주주중심의 모범적 지주사’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주가가 상승 추세를 보이며 ▲’27년까지 순자산가치(NAV)할인율 50% 이하로 축소 ▲’25년~’27년 자기자본비용(COE)를 초과하는 자기자본이익률(ROE) 실현 ▲’27년까지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 이상 이라는 목표를 향해 순항하고 있다. 또한 주주환원 측면에서는 회사 출범 후 재무제표상 주주환원이 가능한 ‘23년부터 2년간 누적 4,100억원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꾸준히 실행해 왔다. 이에 추가로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1,000억원의 자사주 매입을 진행했다. SK스퀘어의 ‘24년 주주환원율(TSR, Total Shareholder Return)은 50.8%로 코스피(KOSPI) 평균치 5.1%를 훌쩍 상회한다. SK스퀘어 본체는 올해도 무차입 경영을 이어가며 현금성자산을 1.3조원 이상 확보해 AI∙반도체 분야 신규투자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SK하이닉스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투자처를 신중히 물색하고 있다. SK스퀘어의 ‘24년 말 현금성자산은 5,363억원이다. 올해는 SK하이닉스 배당수익(약3,550억원)과 SK쉴더스 잔여 지분매각대금(약5,000억원)으로 기 확보한 현금유입분에, 추가적인 비핵심자산 유동화를 통해 총 1.3조원 이상의 투자재원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한명진 SK스퀘어 사장은 “지난해 O/I (운영개선, Operation Improvement) 활동을 통해 포트폴리오별 사업 전략을 재정립 했으며 손익 개선에 집중했다”며, “올 한 해 수익성 중심 포트폴리오 밸류업, 비핵심자산 유동화, 투자회사 아이덴티티 강화에 주력하고 주주가치 제고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국수력원자력(사장 황주호, 이하 한수원)이 25일 고려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등 29개 기관(주관기관 및 참여기관 포함)과 ‘2024년도 사외공모과제’ 협약을 체결했다. 한수원과 기관들은 협약을 통해 ▲원전 안전성 ▲설비 신뢰도 ▲수출형 원전 ▲해체/사용후핵연료 ▲신재생/신사업 등 원전 산업 분야와 관련한 공동연구를 추진하기로 했다. 지난해 공모한 이번 사외공모과제에는 모두 149개 과제가 접수됐으며, 심사를 거쳐 최종 19개 과제(중앙연구원 17개, 방사선보건원 2개)가 선정됐다. 연구는 총 104억 원 규모로, 2027년 2월 28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한수원은 이번 과제 연구를 통해 원자력 경쟁력을 높여 원전 산업 최강국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한수원은 2017년부터 차세대 혁신 기술을 선도하기 위해 외부 기관들과 사외공모과제를 시행해오고 있다. 지난해까지 약 600억 원의 과제비를 투입해 160여 건의 산업재산권 출원, 670여 건의 논문 게재 및 발표, 250여 건의 연구보고서 작성, 260여 건의 기타성과물 등을 도출했다. 과제에 참여한 기관만 92개에 달한다. 신호철 한수원 중앙연구원장은 "다양한 분야의 산·학·연 연구 협력을 통해 전 세계 원자력 산업을 주도하기 위한 기술개발의 초석을 닦을 것”이라며, “초격차 원자력을 위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에 꾸준히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국내 금융지주사들 가운데 고객 및 투자자들에 대해 가장 높은 관심을 보인 곳은 'KB금융지주'로 나타났다. 이어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순이었다. 25일 데이터앤리서치는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4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10개 금융지주 '고객' 관련 포스팅 수를 조사했다고 밝혔다. 조사 키워드는 '금융지주사'+ '고객, 손님, 소비자, 투자자' 등의 키워드로 합산 분석했으며, '한글 기준 15자 이내인 경우만 결과값으로 도출되도록 했기 때문에 실제 정보량은 달라질 수도 있다. 조사 대상은 지난해 정보량 순으로 △KB금융지주(105560) △신한금융지주(055550) △하나금융지주(086790) △우리금융지주(316140) △NH농협금융지주 △한국금융지주(071050) △BNK금융지주(138930) △DGB금융지주(139130) △JB금융지주(175330) △메리츠금융지주(138040) 등이다. KB금융지주는 지난해 총 2만5973건의 관련 포스팅 수로 유일하게 2만건대를 기록하며 금융지주 10곳 중 고객 관심도 1위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경****라는 블로거는 KB금융은 "최근 몇년간 주주 친화적인 배당 정책을 실시하면서 많은 투자자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배당을 유지하면서 주주 신뢰를 지키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주주 입장에서 더욱 매력적으로 느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같은 달 나*라는 블로거는 KB금융이 코리아 밸류업 지수에 신규 편입돼 주목받고 있다는 소식을 알리며 "자사주 매입과 분기 배당 등 혁신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KB금융은 다양한 주주환원 정책을 추진했으며, 그중에서도 지난해 4월엔 '배당총액 기준 분기 균등배당'이라는 새로운 정책을 도입해 배당금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계획을 알렸다"고 말했다. 같은 달 팍스넷 등에는 KB금융이 따뜻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희망2025 나눔캠페인'을 진행했다는 기사가 공유됐다. 이 글에 따르면, KB금융은 소상공인 및 사회 곳곳의 소외계층을 위해 사랑의열매에 200억원을 전달했다. 신한금융지주가 1만3965건의 포스팅 수로 지난해 고객 관심도 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12월 소*라는 네이버블로거는 신한금융지주의 주가 전망에 대해 설명하는 글을 올렸다. 그는 "신한금융의 경우 디지털 혁신과 글로벌 확장에 집중하고 있으며, 주가수익비율(PER)은 10.5배로 업종 평균인 12배보다 낮아 상대적으로 저평가 돼있다"고 말했다. 같은 달 또다른 블로거는 신한지주 배당금 관련 글을 자신의 블로그에 게재했다. 글에 따르면, "신한지주는 회사의 순이익 중 배당금으로 지급되는 비율인 배당성향을 매년 높여가고 있다"며 "이는 투자자에게 신뢰를 주는 요소로 작용된다"고 말했다. 하나금융지주가 1만496건을 기록, 관심도 3위에 올랐다. 지난해 12월 하나금융 주가에 대해 전망한 한 블로거는 "하나금융은 안정적인 실적과 꾸준한 배당 정책 등으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는 또 "하나금융은 지속적인 주주환원 정책 강화와 더불어 금융권 중 높은 수준의 배당금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금융지주 7548건 △NH농협금융지주 6451건 △한국금융지주 5864건 △BNK금융지주 3044건 △DGB금융지주 2342건 △JB금융지주 1372건 △메리츠금융지주 753건 순이었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지난해 금융지주사 10곳의 '고객' 관련 전체 포스팅 수는 총 7만7808건으로 전년 6만7857건 대비 9951건, 14.66% 늘어나 금융지주사들의 주주환원에 대한 관심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펄어비스가 검은사막 모바일 서비스 7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행사와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오늘(25일) 밝혔다. 서비스 7주년 당일인 2월 28일, 특별 생방송 ‘7주년 LIVE 플레이존’을 진행한다. 28일 18시 검은사막 모바일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3월 18일 09시까지 7주년 기념 특별 아이템으로 ‘나크의 축복이 깃든 주문서(3일)’를 지급한다. 인게임 배너를 통해 누구나 받을 수 있으며, 사용 시 모든 지역에서 아이템 획득 확률이 10% 증가하는 혜택을 제공한다. 7주년 기념 4종 ‘도감‘도 추가했다. 도감은 모험에 도움이 되는 추가 보상과 효과를 획득할 수 있는 콘텐츠다. 7주년 도감을 완성하면 증표가 발급되며, 4종을 모두 모으면 ‘영롱한 혼돈 미확인 문양 각인서’를 획득할 수 있다. 공식 포럼을 통해 주요 업데이트 및 데이터를 함께 볼 수 있는 인포그래픽을 공개했다. 인포그래픽을 확인하고 관련 댓글을 3월 11일 09시까지 남기면, 추첨을 통해 치킨 기프티콘을 증정한다. 참여한 모든 모험가에게 참가 보상으로 쾌속 성장 상자도 지급한다. 한편, '나이트메어 : 비취별빛 숲'에 신규 난이도를 추가했다. 해당 난이도에서는 길드원 표식이 표시되지 않으며, 오직 홀로 전투를 진행해야 한다. 또한, 전투력 상한선을 설정해 초심자들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설계했다. 현대적인 모습으로 디자인한 신규 의상 ‘BD9 N’도 업데이트했다. 검은사막 모바일 최신 업데이트 및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식 포럼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홍철암 영남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마이크로 RNA(이하 miRNA)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시 진단할 수 있는 미세유체 장치(microfluidic device) 기반의 육안 진단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 성과를 국제학술지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IF 8.5, 재료 과학 및 응용 분야 상위 10%)’ 2025년 1월호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영남대 화학과 소속 이찬열(제1저자), 정지윤, 남혜정 연구원이 참여했으며, 교신저자로 홍철암 교수가 연구를 주도했다. 연구팀은 두 종류의 마이크로 RNA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기존 RT-qPCR(역전사 정량 중합효소 연쇄반응) 대비 높은 진단 정확성과 신속성을 입증했다. 마이크로 RNA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약 22개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짧은 RNA 조각으로, 질병의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에 중요한 분자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고가의 분석 장비와 효소 없이도 상온에서 촉매성 DNA 분자의 등온 증폭을 이용하여 1시간 이내에 극미량의 miRNA를 육안으로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특히, 기존의 RT-qPCR 기술로 구별하기 어려운 miRNA의 염기 변이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진단 정확도를 확보했다. 홍철암 교수는 “이번 연구는 2024년 노벨 생리의학상 연구 주제인 마이크로 RNA의 중요성을 반영한 연구로, 정밀 의료 및 맞춤형 치료 진단 기술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며, “향후 8종 이상의 마이크로 RNA를 동시 진단할 수 있는 미세유체 장치를 개발하여 신경 및 근골격계 희귀질환의 조기 진단과 위험성 예측 연구를 영남대학교병원과 협력하여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24년 1월 10일 ‘다중 표적 miRNA 검출을 위한 미세유체 분석법’으로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향후 기술 상용화를 목표로 지속적인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다.
교보생명이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에 3년 연속으로 선정됐다. 교보생명은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이 주관한 ‘2025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조사에서 생명보험 산업 부문 1위에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2023년 이후 3년 연속 1위를 차지한 것으로 이해관계자에 대한 지속적인 가치 창출 능력이 가장 뛰어난 기업으로 인정 받았다. 특히 조사 대상 산업 중 상위 30대 기업을 일컫는 ‘올스타(All Star) 기업’에 2년째 이름을 올려 윤리, 정도 경영의 업계 선두주자로서 위치를 다졌다.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조사는 기업 전체의 가치 영역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KMAC가 2004년부터 매년 엄격한 조사를 통해 부문별 1위 기업을 발표해오고 있다. 지속적인 혁신 능력과 주주 가치, 직원 가치, 사회 가치, 이미지 가치 등을 평가한다. 서비스 품질과 고객 만족 활동, 재무 건전성, 경영 능력, 신뢰도, 인재 육성 및 복리후생 제도, 사회공헌 활동, 환경친화적 경영 등이 주요 지표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7월부터 넉 달간 산업계 종사자 7644명, 증권사 애널리스트 222명, 일 소비자 3600명 등 총 1만1466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교보생명은 대부분의 영역에서 생명보험 업계 평균을 웃도는 점수를 받았다. 특히 선호도, 신뢰도 등을 포함한 이미지 가치에서 높은 평가를 얻었다. 견고한 신뢰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차별화한 가치를 전달하고 균형 잡힌 보장을 제공해 온 결과다. 교보생명은 지속가능경영철학을 바탕으로 이해관계자 중심 경영과 진정성 있는 환경(E)·사회(S)·지배구조(G) 경영을 추진 중이다. 또 보험 사업 혁신을 이어가며 기업시민으로서 윤리적인 책임을 다하고 있다. 교보생명은 보험금 청구 절차를 대폭 간소화하고, 평생든든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제때 청구하지 못한 5400억 원(지난해 기준) 규모의 보험금 수령을 돕는 등 완전 가입과 최적의 보장 및 유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국내 보험 회사 중 처음으로 2010년 기업의 사회적 책임 국제협약인 유엔글로벌콤팩트(UNGC)에 가입했다. 이듬해에는 생명보험 업계 최초로 매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해 이해관계자와 소통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보호아동 성장 지원사업, 교보생명컵 꿈나무체육대회 등 여러 사회 공헌 활동을 벌이고 있다. 최근에는 환경부와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지구하다 페스티벌’을 개최하며 환경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KAI(한국항공우주산업)는 윤리경영 자율준수 프로그램(Compliance Program, 이하 CP)을 적극적으로 운영하여 윤리문화 확산을 노력한 점을 인정받아 25일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청렴윤리경영 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윤리경영 자율준수 프로그램(CP)은 기업이 경영활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패 위험을 예방 및 관리하기 위해 자율적, 상시적으로 운영하는 관리체계로 우수기관 표창은 청렴윤리경영을 선제적으로 운영한 기업에게 주어진다. 특히, KAI는 윤리경영 운영체계를 구축하여 국내외 법률 및 국제협약, 사규 위반 리스크를 관리하고 자율준수협의회를 통한 투명한 거래를 실천한 점에서 실효성 있는 CP를 운영하고 있음을 인정받았다. KAI는 대표이사 직속의 독립된 조직인 윤리경영실 아래 CP 전담조직인 컴플라이언스팀을 운영하며 윤리준법경영 연간 보고서 기반의 명확한 운영 지침을 수립하고 있다. 또한 부패 리스크 방지를 위해 윤리경영실장이 위원장으로 구성된 자율준수협의회를 반기 1회 개최하며 재무/비재무 리스크를 분리하여 통제하며 효과성을 측정하고 있다. KAI는 2018년 방산업계 최초 ISO 37001(부패방지 경영시스템) 인증 획득을 시작으로 2023년 ISO 37301(규범준수 경영시스템) 인증 획득 및 IFBEC(국제항공방산윤리포럼) 참여, 공정위 CP평가 A등급 획득 등 윤리준법 경영을 고도화하고 있다. KAI 강구영 사장은 “국민권익위원회 청렴윤리경영 표창은 KAI 윤리준법 활동의 결과이자 투명경영 기업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가 크다.”며 “이번 표창 수상을 계기로 윤리준법 경영을 고도화하여 고객에게 신뢰받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청렴 방산기업으로 우뚝 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수력원자력(사장 황주호, 이하 한수원)이 25일 제22회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에너지 부문 1위를 수상하며, 에너지 산업을 선도하는 공기업으로서 산업계의 높은 신뢰를 입증했다. 올해 22회를 맞이한 한국능률협회컨설팅 주관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평가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신뢰와 존경을 받기 위한 지속적인 경영혁신 능력과 가치창출 수준 등을 고려해 전문가, 일반 국민 등의 엄격한 평가과정을 통해 가장 우수한 기업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번 평가에는 산업계 종사자, 증권사 애널리스트, 일반소비자 등 11,466명이 조사에 참여했다. 한수원은 국내 원전 생태계 복원 및 협력사 동반성장에 크게 기여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특히, 신속한 신한울3,4호기 주설비공사 계약 체결 등을 통해 원전 생태계 복원의 신호탄을 쏘아올렸으며, 동반성장 브랜드 ‘사기충전’을 론칭, ‘원전 수출 플랫폼 지원사업’ 등을 통해 협력사들을 물심양면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한수원은 CEO 주도로 투명하고 청렴한 경영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지난해 12월 국민권익위원회 주관 2024년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종합청렴도 1등급을 달성하며 청렴 경영의 모범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앞으로도 한수원은 우리나라 원자력 산업의 글로벌 위상을 높이고, 청렴 경영을 바탕으로 어려운 이웃과 지역사회를 세심하게 살피는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해 국민들의 신뢰에 보답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