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 김송이 기자] KAIST(총장 이광형)는 기계공학과 이승섭 교수와 전기전자공학부 윤준보 교수 공동 연구팀이 `투명 스마트 복합 필름'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19일 발표했다. `투명 스마트 복합 필름'은 투명한 필름 혹은 유리판 위에 안테나, 열선, 발광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현된 것으로, 시야 방해 없이 원활한 5G 통신, 고효율 방열, 정보 전달 기능이 동시에 가능하다. 한편, 자동차부품 기업인 ㈜티에이치엔은 5G 안테나 기업인 ㈜센서뷰와 함께 관련 기술을 이용해 자동차용 제품 개발을 진행 중이며 시제품이 2022년 현대자동차 테크데이에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이승섭 교수 연구팀과 윤준보 교수 연구팀은 서로 다른 방법으로 투명 필름 연구를 수행했는데, 이승섭 교수팀은 투명 전도성 필름 기반의 안테나와 열선을 연구했고, 윤준보 교수팀은 초소형 3차원 패턴을 이용한 투명 발광을 연구했다. 이승섭 교수팀이 개발한 투명 전도성 필름은 투명도 90% (PET 필름 포함), 면저항 0.3옴/sq, 헤이즈 1%의 세계 최고 성능을 가지고 있다. 투명 안테나 필름은 짧은 주파수 특성으로 많은 안테나를 요구하는 5G 특화망을 대상으로 개발됐는데, 스마트 빌딩과 팩토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정부출연연구기관 최초로 ‘기술사업화’를 전문으로 하는 매거진이 발간되었다. 연구자, 기술창업자, 대학생은 물론, 기술사업화에 관심있는 사람들의 개념 정립과 참고에 나침반이 될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기술사업화 전문잡지, ETRI 『테크비즈 인사이트』 를 온·오프라인으로 펴냈다고 밝혔다. ETRI 『테크비즈 인사이트』 는 공공연구성과의 활용·확산을 지속해서 공론화하고, 국내 산·학·연·관과 함께 기술사업화 발전을 촉진하는‘교류와 소통의 장’역할을 지향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창간호 주제는‘혁신성장 시대, 연구소기업 제도가 나아갈 길’이다. 연구소기업의 모든 것을 담고 있다. 제도 운용에 관한 주요 현황과 질적 발전을 위한 방향 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연구소기업 설립·경영·지원·투자를 담당하는 관련 전문가의 경험과 선도기관의 사례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기술사업화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ETRI의 매거진은 기술사업화 특정 주제에 관한 종합현황과 핵심 이해관계자의 현안을 두루 제공한다. 이로써, 연구개발과 사업화의 격차 해소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번 창간호에서는 ▲연구소기업제도 성
[웹이코노미 김송이 기자] KAIST(총장 이광형)은 ㈜엔지노믹스(대표 서연수)가 24억 원의 발전기금을 약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엔지노믹스는 연구용 효소 개발 및 생산하는 바이오기업으로 2007년 설립됐다. 서연수 KAIST 생명과학과 교수가 최고기술경영자(CTO)를 역임한 뒤 지난해부터 대표를 맡고 있다. KAIST 발전재단 관계자는 “㈜엔지노믹스는 2015년부터 올해까지 우수한 박사학위논문을 발표한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을 매년 기부해 온 기업”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에는 ㈜엔지노믹스가 생명과학과와 향후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 협력을 추진하고 학과의 부족한 연구 공간을 증축하는 데 보탬이 되기 위해 거액의 발전기금을 쾌척했다”라고 전했다. 이번 기부금은 생명과학과 건물 증축(가칭 바이오신약센터)기금으로 전액 사용된다. 2026년 상반기 준공 목표인 바이오신약센터는 교원 연구공간 및 학생 교육 공간 확보, 첨단 연구 장비 및 신약 연구시설 집적화, 행정·기술지원 시설 보강 등을 위해 건립을 추진 중이다. 14일 오전 KAIST 대전 본원 총장실에서 열린 발전기금 약정식에는 서연수 대표, 신용걸 연구소장, 김민정 이사 등 ㈜엔지노믹스 관계자들과 이
[편집자 주] 올바른 한글 표현, 표준어 알리기와 신종 '외계어'에 대한 이해를 돕는 일이 시급하다. 한국어 사전 빼고는 이제 올바르지 못한 한글 표현, 은어, 외계어 등이 난무하는 세상이다. 자꾸만 세상은 디지털화하고 복잡 다양해진다. 아날로그가 그리운 시점이다. 신종 외계어로부터 오롯이 한글을 지켜내고 싶은 마음이 커진다.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상대를 무찌르는 데 문제 없듯이, 시대에 뒤처지지 않으려는 움직임과 한글을 지켜내기 위한 부단한 노력을 우리는 해야 한다. 이에 웹이코노미는 '마음을 비우고 배우는 한글 상식' 문패 하의 다양하고도 재미 있는 기사로 동참하고자 한다. [웹이코노미 정재은 기자] ‘낳다’와 ‘낫다’는 발음이 비슷해 사람들이 자주 헷갈려 하는 맞춤법 중 하나다. ‘너 감기 걸렸다며. 어떡해, 얼른 낳아!’ 몸이 아플 때 지인들에게 한 번쯤 받아본 적 있는 메시지일 것이다. 이런 메시지를 받으면 ‘도대체 뭘 낳으라는 걸까?’ 하는 민망함과 틀린 맞춤법을 지적해 주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고민으로 바로 답장을 보내기 꺼려지기 마련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낳다’는 ▲배 속의 아이, 새끼, 알을 몸 밖으로 내놓다 ▲어떤 결과를 이루
[편집자 주] 올바른 한글 표현, 표준어 알리기와 신종 '외계어'에 대한 이해를 돕는 일이 시급하다. 한국어 사전 빼고는 이제 올바르지 못한 한글 표현, 은어, 외계어 등이 난무하는 세상이다. 자꾸만 세상은 디지털화하고 복잡 다양해진다. 아날로그가 그리운 시점이다. 신종 외계어로부터 오롯이 한글을 지켜내고 싶은 마음이 커진다.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상대를 무찌르는 데 문제 없듯이, 시대에 뒤처지지 않으려는 움직임과 한글을 지켜내기 위한 부단한 노력을 우리는 해야 한다. 이에 웹이코노미는 '마음을 비우고 배우는 한글 상식' 문패 하의 다양하고도 재미 있는 기사로 동참하고자 한다. [웹이코노미 정재은 기자] 직장인이거나 구직자라면 한 번쯤은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 헷갈리는 맞춤법으로 검사기를 돌려본 적이 있을 것이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취준생이 많이 틀리는 맞춤법 중 하나가 바로 ‘좇다’와 ‘쫓다’의 구분이라고 한다. 자기소개서에서 ‘좇다’는 자기소개서에서 “꿈을 좇아 열심히 공부했다”, “호기심을 좇아 열정을 다 바쳤다”와 같은 표현으로 사용된다. 국립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은 '좇다' 뜻에 대해 ▲목표, 이상
[웹이코노미 김송이 기자] 국내 연구진이 스티커처럼 손가락 끝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촉감을 원격 전달하는 텔레햅틱 장치를 개발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과 초소형화를 통한 활용성으로 메타버스 및 현실 촉각 경험에 몰입감을 더할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기존 촉감 재현장치의 몰입 저해 요소를 해결하고 피부에 밀착해 더욱 생생한 촉각 경험을 제공하는 피부부착형 텔레햅틱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본 기술은 전자공학 분야 세계 최고 수준 권위지인 『엔피제이 플렉시블 일렉트로닉스』에 지난달, 게재되었다. 텔레햅틱 기술은 촉감을 원격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메타버스, 가상·증강현실(VR·AR),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촉각을 활용한 몰입 경험을 크게 키울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시각과 청각을 넘어선 촉각 커뮤니케이션의 핵심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본 기술은 촉·질감이 가지는 고유한 진동패턴을 이용한다. 촉각 수집 센서와 촉각재현 액추에이터를 통해 현실에서 물체를 직접 만지지 않아도 가상으로 질감을 느껴볼 수 있다. ETRI는 지난해 4월, 텔레햅틱 기술을 공개한 데 이어 이번에 손가락에 스티커처럼 접착이 가능한 형태로 기술을 고도화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심층 학습(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서비스 구축을 위해서 인공지능은 심층신경망을 훈련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훈련 데이터를 준비해야 한다. 특히 훈련 데이터에 정답지를 만드는 레이블링(labeling) 과정이 필요한데 (예를 들어, 고양이 사진에 `고양이'라고 정답을 적어줌),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수작업으로 진행되므로 엄청난 노동력과 시간적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훈련 데이터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법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AIST(총장 이광형)는 전산학부 이재길 교수 연구팀이 심층 학습 훈련 데이터 구축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동시 정제 및 선택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심층 학습용 훈련 데이터 구축 과정은 수집, 정제, 선택 및 레이블링 단계로 이뤄진다. 수집 단계에서는 웹, 카메라, 센서 등으로부터 대용량의 데이터가 정제되지 않은 채로 수집된다. 따라서 수집된 데이터에는 목표 서비스와 관련이 없어서 주어진 레이블에 해당하지 않는 분포 외(out-of-distribution) 데이터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동물 사
[웹이코노미 김송이 기자]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컴퓨터공학과 교수진과 Google(구글)이 협업하여 연구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구글은 전 세계 대학의 연구 활동과 학문 발전, 기술 혁신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연구비 지원(Google Research Grant), PhD 펠로우십 프로그램(PhD Fellowship Program) 등 교수진과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최승문 교수는 구글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소리-촉각 변환 알고리즘 개선(Improving Algorithms for Sound-to-haptics Conversion)’ 연구를 지원받아 수행했다. 올해 3월에는 박재식 교수가 구글 클라우드 연구 크레딧 지원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컴퓨팅 클라우드 활용권을 지원받은 바 있다. 그리고 성효진 교수는 8월 ‘구글 2022 익스플로어 컴퓨터공학 리서치 워크숍 어워드(Google 2022 ExploreCSR Award)’에 선정되어 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컴퓨팅 분야 연구와 진로 탐색을 위한 워크샵 개최를 지원받을 예정이며, 추후 대상 소수자 그룹을 확대해 지속적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간편하고 맛있는 배달 음식. 하지만 음식을 먹고 난 뒤 쌓이는 플라스틱은 환경을 급속도로 오염시키며 우리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 그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일명 ‘썩는 플라스틱’이라고 불리는 바이오 플라스틱이다. 친환경 원료를 사용하는 바이오 플라스틱은 생산 과정에서 공해 물질을 적게 배출하거나 자연에서 잘 분해된다는 특징이 있다. 최근 한국·스페인 공동연구팀이 쓸모없는 제철소 부생가스 발효산물을 이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재탄생시켰다.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화학공학과 정규열 교수·박사과정 예대열 씨· 노명현 박사· 박사과정 문조현 씨 연구팀은 스페인 농업유전체학연구소(CRAG, Centre for Research in Agricultural Genomics)와의 공동연구로 대장균에서 인공효소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 대장균과 제철소 부생가스 발효산물인 아세트산을 결합해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인 이타콘산을 대량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최근 게재, 우수성을 인정받아 저널 편집자가 선정한 영향력 있는 논문(Edito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KAIST(총장 이광형)는 화학과 윤동기 교수팀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김선준 박사 공동연구팀이 성균관대학교 구종민 교수와 고려대학교 강윤찬 교수팀과의 협업으로 전자파 차폐·흡수가 가능한 차세대 신소재인 맥신(MXene)을 세계 최초로 수직으로 세우고 한 방향으로 배향하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종이 한 장 혹은 여러 장을 평평한 바닥에 수직으로 세우는 일은 불가능하다고 사람들은 말한다. 왜냐하면 얇고 유연하기 때문이다. 윤동기, 김선준 공동연구팀은 일반 종이의 만분의 일보다 더 얇고 유연한 맥신 나노 시트를 수직, 일렬 정렬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맥신이란 전이 금속인 티타늄과 유기물인 탄소로 이루어진 이차원 물질이다. 전기적인 특성이 뛰어난 그래핀과 비슷하게 전도성이 좋으면서 가볍다는 특징 이외에도, 다양한 용매들에 잘 녹아 가공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지만, 종잇장과 같은 성질로 인해 수평으로만 배향된 연구가 지금까지 이뤄져 온 것이 지배적이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친환경 용매인 물에 분산된 맥신 나노 시트에 교류 전기장을 인가하면 전기장을 따라 일렬로 정렬되는 현상에 연구팀은 주목했다. 이때 맥신의 표면은 강한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대덕특구의 소문난 커뮤니케이터, 이순석 박사가 디지털 건축가로서 그동안 소통과 만남을 통해 체험한 내용을 인문학적으로 꾸며 책을 내놨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이순석 박사는 대덕특구 마당발로 불린다. 240여회에 달하는‘새통사(새로운 통찰을 모색하는 사람들)’커뮤니티는 이미 유명세를 탄지 오래다. 새통사는 대덕특구에서 과학은 물론, 예술, 교양, 인문 등 다양한 학문을 융합해 새로운 그 무엇을 찾자는 모임이다. 이박사는 새통사를 7년째 주관하고 있다. 이번에 펴낸 책의 제목은 『공학의 시간』이다. 세상의 화두인‘제4차산업혁명’,‘디지털 대전환(DX)’등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디지털 건축가로서 그동안의 연구경력과 소통하면서 느낀 세상을 새롭게 보는 안목과 통찰을 담았다. 이 박사는 본 저서를 통해‘공학’이라는 세계를 통해 청년들이 새로운 세상의 주인공으로 바로 서길 바란다고 말한다. 또 공학적 시선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준비하자고 강조한다. 저서는 ‘세상’,‘미래’,‘희망’과 관련한 주제가 많은 공학자가 쓴 인문경영 교양서이다. 아울러 공학의 관점에서 볼 때 현재 불고 있는‘디지털 대전환’은 큰 기회라고 주장한다. 이전 세상에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KAIST(총장 이광형)는 오토아이디랩(센터장 김대영)이 13일부터 이틀간 부산 벡스코에서 ‘디지털 대전환 컨퍼런스 부산 2022’를 주최한다고 7일 밝혔다. 부산광역시와 공동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 주요 산업인 조선, 항만, 해운, 물류, 수산, 스마트시티 등의 분야가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아 준비해야 할 전략을 논의하고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틀간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국제표준과 디지털전환 ▴해양과 물류산업 ▴K-주소와 혁신성장산업 ▴스마트시티 ▴스마트 수산 등 6개의 세션과 4개의 기조 강연이 진행되며, 24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각 분야의 기술동향, 글로벌 시장 및 국제표준 등의 현황을 공유한다. 첫째 날에는 최재붕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와 하정우 네이버AI랩 연구소장이 기조 연사로 나서 각각 ‘메타버스 시대 바꿔야 할 3가지’, ‘산업계에서의 AI 연구(AI Research in Industry)를 주제로 강연한다. 이튿날에는 안병민 열린비즈랩 대표의 ’디지털이 빚어내는 고객경험 혁신, 서비타이제이션‘과 정구민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교수의 ’자율주행산업과 모빌리티‘ 기조 강연이 이어진다. 또한, 산업
[웹이코노미 김송이 기자] KAIST(총장 이광형)는 생명과학과 김세윤, 양한슬 교수 공동연구팀이 염증으로 손상된 대장 조직 회복의 필수 인자인 핵심 효소를 발굴하고 외부로부터 면역기능을 제공한다고 알려진 솔세포(tuft cell)의 발생을 조절한다는 점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KAIST 생명과학과 박승은 박사, 이동은 박사과정 학생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세포 및 분자 소화기학 및 간장학 (Cellular and Molecular Gastroenterology & Hepatology)'에 지난 8월 19일 字 온라인 게재됐다. 염증성 장 질환은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국내 발병률은 매우 낮은 질환이었으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1년 말 만성 염증성 장 질환인 크론병 환자가 1만3천여 명, 궤양성 대장염 환자가 2만9천여 명으로 집계됐으며 이후로도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 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은 복통, 설사뿐 아니라 전신 무력감, 체중 감소, 장 천공 등의 합병증을 유발해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낮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포항가속기연구소(PAL, 소장 김광우) 윤영대 박사가 아시아태평양물리학연합회(AAPPS, Association of Asia Pacific Physical Societies) 플라즈마 물리분과(Division of Plasma Physics)에서 선정하는 신진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올해 수상자 중 한국인은 윤 박사가 유일하다. 이 상은 플라즈마 물리 분야에서 큰 연구 성과를 낸 아시아태평양 지역 소속 과학자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30세 이하 부문과 40세 이하 부문이 있다. 윤 박사는 기초 플라즈마 분야에서 학계에 공헌한 바를 인정받아, 30세 이하 부문 6명의 수상자 중 한 명으로 선정됐다. 그는 미국 칼텍(Caltech)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포항가속기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크게 두 가지로, 핵융합·천체 물리 관련 고온 자기화 플라즈마 분야와 가속기 물리 관련 전자빔 불안정성 분야다. 최근 POSTECH 물리학과·첨단원자력공학부 윤건수 교수와 함께 전류시트의 비충돌 평형화 과정을 밝히고, 분기된 전류시트의 기원을 설명하며 플라즈마 분야의 오랜 난제를 해결, 학계의 큰 반향을 불러 모았다.
[웹이코노미 김송이 기자] 바쁜 일정에 쫓겨 정신없이 하루를 보내다 보면 빠르게 지나가는 1분 1초가 아깝게 느껴진다. 그보다 짧은 찰나의 순간에도 쉴 새 없이 벌어지는 일이 있다. 바로 전자, 원자, 분자의 움직임이다. 펨토초(fs, 1,000조분의 1초), 아토초(as, 100경분의 1초) 광원은 원자 또는 분자 단위의 미시 세계에서 촘촘하게 일어나는 자연 현상의 관찰을 가능케 했다.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물리학과·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연구소(MPK) 김동언 교수, 부산대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김승철 교수·알렉산더 글리세린(Alexander Gliserin) 박사 공동연구팀은 분광계 없이도 펨토초 찰나 빛의 특성을 정확히 알 수 있는 펄스 측정 기술을 개발했다. 비용이 많이 드는 분광계를 사용하지 않아도 돼, 측정 비용과 절차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찰나의 빛의 특성을 알기 위해 하나의 펄스를 균일하게 둘로 쪼갬으로써 시간 정보를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이 사용됐다. 다만 동일한 펄스 복사본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펄스 스펙트럼1) 위상이 손실돼 구체적인 정보를 얻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추가적인 분광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