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 이고운 기자]
넷플릭스 유투브 웨이브 왓챠 티빙 FLO...
코로나19 영향으로 '집콕' 생활이 늘면서 다양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다.
1만원 내외로 한달 간 드라마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컨텐츠를 제한없이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뭐든지 하나로 만족하긴 힘들 터. OTT마다 장단점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OTT 복수이용자가 늘고 있고, 이에 따른 소비자들의 구독료 부담도 증가되고 있다.
다행히도(?) 최근 여러 카드사들이 OTT 구독료를 할인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OTT 구독료 최대 50% 할인
삼성카드의 'taptap DIGITAL(탭탭 디지털)' 카드는 넷플릭스를 비롯한 왓챠, 웨이브와 멜론, FLO 50% 할인 혜택을 해준다.
정기 결제 시 적용되며 최대 1만원까지 할인이 가능하다. 또 '온라인간편결제'를 이용하면 5% 할인이 가능하다.
같은 시리즈인 'taptap SHOPPING(탭탭 쇼핑)'도 온·오프라인 쇼핑 5% 할인뿐만 아니라 스트리밍 서비스 건별 6000원 이상 정기결제시 3000원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현대카드는 '현대카드 DIGITAL LOVER(디지털 러버)' 카드를 선보였다.
디지털 스트리밍 서비스를 주 목적으로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멜론, 지니 중 1개를 선택해 월 1만원 한도 내 할인을 해준다.
현대카드 또한 온라인 간편결제서비스 이용시 5% 청구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 '배달앱' 할인까지 원한다면
NH농협카드의 '올바른FLEX(플렉스)카드'는 유튜브 프리미엄, 넷플릭스, 멜론 등의 서비스를 이용건당 7000원 이상 정기결제시 20% 청구할인을 해준다.
여기에 배달의민족, 요기요등 배달앱을 통해 월 횟수와 상관없이 이용 건당 1만5000원이상 결제 시 일 1회, 10% 청구 할인을 제공한다.
신한카드의 YaY(예이) 카드는 고객의 신나는 홈라이프를 위한 소비에 포인트 적립 혜택을 더했다.
'마리아쥬 서비스 적립'을 통해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왓챠플레이 정기결제 시 결제 금액의 30% 포인트를 적립해준다.
또한 밀딜리버리 서비스인 배달의 민족, 요기요, CJ쿡킷, hyFresh(헤이프레시) 이용 시 기본 15%의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다.
특히 OTT서비스와 밀딜리버리를 동시에 이용할 경우 밀딜리버리 이용금액에 15% 추가로 적립해준다.
■ 보다 폭 넓은 혜택을 원한다면
우리카드의 '카드의정석 UNTACT(언택트)' 카드는 △유튜브 프리미엄,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등 영상 구독 서비스 △멜론, 지니뮤직, 유튜브 뮤직 등음원 구독 서비스 △YES24 북클럽, 교보문고 SAM 등 전자도서 구독 서비스에 모두 20%의 정기결제 할인이 적용가능하다.
또 쿠팡 멤버십, 간편결제, 게임 정기결제 할인 혜택도 함께 누릴 수 있다.
롯데카드는 'LOCA(로카)' 시리즈 중 'LOCA for Coffee(로카 포 커피)를 통해 넷플릭스·유투브·왓챠·멜론·지니뮤직의 스트리밍 서비스 정기결제 시 20% 할인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또 △커피 가맹점 50% △배달앱 10% △온라인 쇼핑 5% △교통 10%의 혜택을 공급한다.
KB국민카드는 'Easy all(이지 올) 카드'를 통해 개인별 맞춤 혜택을 제공한다. 특히 많이 사용한 영역에서 자동으로 캐시백을 받을 수 있으며, DIY 모드를 통해 개인이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D그룹을 선택하게 되면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멜론, 지니등 구독 서비스와 영화관 10% 결제 혜택을 받는다.
배달앱, 커피, 제과/패스트푸드 10% 할인 혜택도 함께 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한 혜택과 연회비, 할인 적용 범위 및 한도는 회사마다 상이함으로 자세한 내용은 각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하면 된다.
이고운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