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교총이 젊은 교사들의 교직 이탈 대책으로 줄기차게 요구한 저연차 교사 정근수당 인상이 실현될 전망이다.인사혁신처는 내년부터 근무 연수1년 미만10%(신설), 2년 미만5%→10%, 3년 미만10%→20%, 4년 미만15%→20%로 정근수당을 인상하는2025년‘공무원 보수 규정’및‘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개정안을22일 입법 예고했다.
이에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회장 강주호)는“젊은 교사들이 떠나가는 교단에 희망이 있을 수 없다”며“교총이 요구한 정근수당 인상을 전격 수용한 데 대해 환영한다”고 밝혔다.
교총은“최근3년간 물가 상승률 대비 교원 보수 인상률이 마이너스7.2퍼센트로 삭감 수준인 데도 내년도 보수 인상률이3%에 그쳐 젊은 교사들은 또 한 번 좌절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교총이 지난8월3일부터27일까지20~30대 교사4,603명을 대상으로‘월급만족도 설문조사’를 한 결과, 86%가‘월급 때문에 이직을 고민한 적 있다’고 응답했다.또한 언론보도에 따르면2023년3월부터2024년2월까지 퇴직한10년 차 미만 초‧중‧고 교사는576명으로5년 내 최다를 기록했다.
교총은“이런 상황에서 교총 요구를 수용해 저연차 교사에 대한 추가적인 처우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은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이어“하지만 실질임금 삭감 등 갈수록 열악해지는 교원 처우를 회복하는 데는 많이 부족하다”며“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교원 보수10%이상 인상, 24년째 동결된 교직수당 인상 등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교총은 올해 정부,국회,시도교육청을 대상으로△교원 보수10%이상 인상△저연차 교사 정근수당 획기적 인상△교직수당40만원으로 인상△교감(원감)중요직무급 수당 신설△교원연구비7만5천원으로 균등 상향 지급△올해 인상에서 제외됐던 보건‧영양‧상담‧사서교사 수당 인상 등을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지난3월과7월, 10월 교원 제수당 인상 요구서를 교육부,인사혁신처 등에 전달한 바 있으며, 9월에는 세종교총,교총2030청년위원회,보건교사회,전국영양교사회,한국사서교사협의회와 세종 인사혁신처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직접 제수당 인상 요구서를 전달했다.아울러10월부터 교원 처우 개선(기본급10%인상,교직수당 및 제수당 인상)촉구 등7개 과제를 내걸고 전국 교원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대통령실 등에 요구서를 전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