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골다공증 약물 투여 중단 기간 길수록 MRONJ 발생 위험률 감소

골다공증 환자가 치과 치료 전 골다공증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주사 비스포스포네이트의 투약을 일정 기간 중단하면 ‘약물 관련 턱뼈 괴사증(MRONJ)’의 발생 위험률이 감소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대목동병원(병원장 김한수)은 구강악안면외과 박정현 교수 연구팀이 국내 골다공증 환자 데이터 15만 명 이상을 분석해, 골다공증 주사제 투약 중단 기간과 MRONJ 발생 위험 간의 관계를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골다공증 약물 투여 기간을 다르게 설정한 네 개 그룹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했다. A그룹은 90일 이하, B그룹은 91~180일, C그룹은 181~365일, D그룹은 365일 이상 약물 투여를 중단했다. 결과적으로 A그룹과 비교했을 때, B그룹에서는 MRONJ 발생 위험률이 43%, B그룹은 55%, C그룹은 57% 감소했다.

 

이같은 사실은 향후 치료 과정에서 새로운 옵션이 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MRONJ은 골다공증 치료제 및 항암제와 같은 특정 약물 장기 복용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이다. 턱뼈의 괴사와 통증뿐 아니라, 저작장애, 안면부 변형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국내 실제 의료환경에서 수집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데 의의가 있을 뿐 아니라, MRONJ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임상 지침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골다공증 약을 복용하는 환자들은 치과 치료 전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이대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박정현 교수(공동 1저자)와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공성혜 교수(공동 1저자)와 함께 연구했으며,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IF 16.6)’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