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전기·전자·화학

박용진 의원 "회계법인들 증권사 리포트 짜깁기해 삼바 가치 산정해 황당"

HMC투자증권 삼바 9조원대로 평가한 반면 하나대투증권 3조원대로 평가하는 등 편차 심해

 

[웹이코노미=김필주 기자]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과정 당시 제일모직이 보유하고 있던 삼성바이오로직스(이하 ‘삼바’) 가치가 증권사 리포트를 짜깁기해 평균 낸 근거 없는 자료를 바탕으로 산정됐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되고 있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1일 오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지난 2016년 12월 국민연금이 국회 국정조사위원회에 제출한 ‘제일모직 및 삼성물산 적정가치 산출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제일모직이 보유하고 있는 삼바의 가치에 대해 딜로이트안진 회계법인은 8조9360억원, 삼정KPMG 회계법인은 8조5640억원으로 평가했다.

 

박 의원은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에게 딜로이트안진과 삼정KPMG가 어떤 근거로 삼바에 대한 가치 평가가 이뤄진 것인지 알고 있는 지에 대해 질의했다.

 

이에 김 부위원장은 “지난 2015년 4월과 5월 사이에 나온 증권사 리포트를 참고해서 만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박 의원은 “그렇다면 안진이나 삼정이 증권사리포트를 바탕으로 가치평가를 한 것이 잘한 것이냐”라고 따져 물었고 김 부위원장은 “증권사 리포트는 애널리스트들이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보고서로 법적책임은 없다”고 설명했다.

 

또 김 부위원장은 “증권사 리포트를 평균내서 가치 평가를 한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답변했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이 “이런 기업가치 방법을 공식적으로 국회에서 인정한 것이냐”고 질문하자 김 부위원장은 “책임질 그런 문제는 아니다”고 답변을 회피했다.

 

삼정KPMG 회계법인의 경우 6개 증권사의 리포트자료를 평균한 값 5조5920억에 제일모직 바이오부문 평가결과인 2조9723억을 더해 삼바의 가치를 8조5640억원으로 평가했다는 게 박 의원 설명이다.

 

박 의원은 “보고서를 보면 HMC투자증권은 삼바의 평가가치를 9조원대로 평가한 반면 하나대투증권 등은 3조원대로 평가하는 등 편차가 심하다”고 지적했다.

 

또 딜로이트안진 회계법인은 최근 1개월간 증권사 리포트 평균값에 최근 2개월간 증권사 리포트 평균값을 더한 뒤 가장 최근일의 증권사 리포트를 더한 평균값에 제일모직 바이오부문 평가결과를 더해서 삼바의 가치를 8조9360억원으로 평가했다.

 

이같은 가치평가 방법에 대해 박 의원은 “회계사들에게 물어보니 이런 식으로 가치평가하는 것은 말도 되지 않는 소리라고 한다”며 “증권시장에 떠도는 증권사 리포트를 초등학생도 할 수 있는 단순한 더하기 나누기를 통해 산정하는 것은 해괴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문제는 이 근거도 없는 자료를 바탕으로 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가치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의 근거가 됐다는 점”이라며 “이 부분에 대해 철저히 수사하면 합병 과정의 목표가 이재용 부회장의 삼성전자 지배력 확보였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앞으로 남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문제와 책임을 금융위원회에 계속해서 물을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필주 기자 webeconomy@naver.com

 





레저·여행·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