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경제정책·경제단체

경총, 최근 경제 상황과 주요 현안 경제전문가 조사결과 발표

“우리 경제 상황, 2008년 금융위기와 유사하거나 더 어려워(52.7%)”
“2023년 경제성장률 2.0% 이하 예상(79.4%)”
現 경제 상황,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유사하거나 더 어려워’ (52.7%)
최근 어려운 경제 상황의 주된 원인, ‘글로벌 경제・정치 리스크’ (57.4%)
2023년 경제성장률 2.0% 이하 예상 (79.4%)
2023년 경제성장률 평균 1.87%로 전망, 주요기관 예상치를 하회
우리 경제 회복 시점은 ‘2024년 이후’ 전망 (77.9%)
물가 상승세, 당분간 계속되어 ‘2023년 1분기에 정점’ 예상 (47.1%)
기준금리(現 3.0%), ‘3.5% 수준까지 인상 적절’ (44.1%)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11월 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 이하 경총)는 경제전문가(경제·경영학과 교수 204명, 응답자 기준)를 대상으로 한 「최근 경제 상황과 주요 현안」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동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2.7%가 현 경제 상황에 대해 ‘2008년 금융위기 때와 유사하거나 더 어렵다’고 진단했다. 또한 내년 우리 경제성장률이 2.0% 이하일 것이라는 응답이 79.4%에 달했으며, 우리 경제가 정상궤도로 회복되는 시점은 2024년 이후로 예상(77.9%)했다.

 

1. (경제 상황 인식) 지난 1997년 IMF 외환위기 및 2008년 금융위기 때와 비교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52.7%는 지금 우리 경제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유사하거나 더 어려운 상황”이라고 답했다. 지금이 IMF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 때 정도로 어려운 상황은 아니라는 응답은 47.3%로 나타났다.

 

2. (어려운 경제 상황의 주된 원인) 응답자의 57.4%는 최근 우리 경제가 어려운 주된 원인을 ‘러-우 전쟁, 미-중 패권 다툼, 에너지 가격 같은 전세계적인 경제・정치 리스크’라고 지적했다. 그 다음으로 ’대외 의존적인 우리 경제・산업 구조‘라는 응답은 24.0%였고, ’정책당국의 신속한 위기 대응 미흡‘이라는 응답은 11.3%로 나타났다.

 

3. (2023년 경제성장률 전망) 응답자들의 79.4%는 내년 우리 경제성장률을 2.0% 이하로 전망했으며, ’2.0% 초과 ~ 2.5% 이하‘ 응답은 20.6%에 그쳤다. 내년 성장률이 2.5%를 넘어설 것이라는 응답은 나오지 않았다. 내년 우리 경제성장률 전망치의 평균은 1.87%로 나타났다.

 

4. (우리 경제의 회복 예상 시점) 우리 경제가 정상궤도로 회복되는 시점에 대해, ’2024년‘이라는 응답이 53.9%, ’2025년 이후‘라는 응답도 24.0%에 달해 응답자의 77.9%가 회복 시점을 2024년 이후로 전망했다. ‘내년(2023년)에 회복될 것’이란 응답은 22.1%에 불과했다.

 

5. (물가 전망) 응답자들의 47.1%는 최근의 높은 물가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지면서 내년(2023년) 1분기에 정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경총은 이에 대해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지속, 산유국의 원유 감산 결정, 달러화 강세 같은 요인들로 인해 우리 물가 상승세가 좀 더 장기화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6. (기준금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관련, 응답자의 44.1%는 지금 수준(현재 3.0%)보다 기준금리를 더 올릴 필요는 있지만,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번 금리상승기 중 최고치는 한은 전망치인 3.5% 수준이 적절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기준 금리를 지금 수준에서 유지하거나 인하해야 한다는 응답도 32.9%**로 나타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둔화나 가계・기업부담을 우려하는 의견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7. (국가재정 운용) 국가재정 운영기조를 묻는 설문에 대해, 응답자의 65.8%는 ’최근 기업 자금경색, 위기 대응 측면에서는 단기적으로 확대할 수 있지만, 평상시에는 균형재정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 다음으로는 ’긴축재정을 통해 재정건전성을 더 높여야 한다‘는 응답이 20.8%로 나타났고, ’정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어 재정지출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은 13.4%에 그쳤다.





레저·여행·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