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정부부처·공공기관

DLS·DLF 피해자 "국회, 우리·하나은행장 국정감사 증인으로 소환해야"

김주명 비대위원장 "피해자 3600명, 총 가입금액 9000억원 육박...즉시 국정조사 열어야"

 

[웹이코노미=김시연 기자] 우리·KEB하나은행에서 판매했던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인 DLS·DLF 투자 피해자들이 우리·KEB하나은행장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세워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이들은 우리·KEB하나은행에 대해 국정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27일 오전 'DLS·DLF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이날 서울 국회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주장했다.

 

김주명 비대위원장은 "피해자 3600명, 총 가입금액 9000억원에 육박하는 이번 DLS·DLF 사태는 은행이 개인고객을 상대로 벌인 희대의 사건이자 '금융사기'에 가까운 행각”이라며 "오랜 기간 은행을 믿어온 피해자들은 하소연 할 곳 없이 은행 대응만 기다리고 있는 실정으로 국회는 즉각 국정조사를 열어 우리·하나은행장 등 관련자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은행은 원금손실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말과 함께 현금까지 지급하며 피해자들을 현혹시켜 이 상품에 가입시켰다"며 "이번 사태의 가장 큰 책임은 은행 경영진에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피해 책임이 있는 은행들은 현재까지 '금감원 조정안을 기다리겠다', '적극 협조하겠다'는 등 무책임한 발언만 되풀이하며 대책이나 진심어린 사과는 전혀 내놓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피해자 중 한 명인 차호남씨는 호소문을 통해 "1억원을 안전한 은행에 맡겼는데 왜 0원이 됐느냐"며 "은행들은 독일·영국·미국이 망하지 않는 한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속이면서 상품 가입을 유도했다"고 호소했다.

 

뒤이어 그는 "은행들은 왜 피해자들을 투자 정보 확인서에서 95점인 1등급 공격형 투자자로 만들었냐"면서 "금감원은 제1금융권인 우리·KEB하나은행을 확실히 조사해 유사 피해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비대위는 기자회견 뒤 우리·KEB하나은행장에 대한 국정감사 증인 출석 및 두 은행의 국정조사 촉구 탄원서를 여야 3당 대표에 전달할 방침이다.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