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이코노미 윤혜인 기자] KOTRA(사장 유정열)가 7일 ‘호주 수소경제 동향 및 우리 기업과의 협력 방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기반으로 그린수소 생산 및 수출을 차세대 먹거리로 선정한 호주의 수소경제 정책을 우리 기업에 소개하기 위해 기획됐다.
탄소중립이 글로벌 과제로 떠오르면서 세계 주요 석탄 수출국인 호주 역시 수소 생산·수출국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2020년 3월에 ‘기술투자 로드맵(Technology Investment Roadmap)’을 발표하면서 2030년까지 1kg당 수소 생산가격을 2 호주 달러 미만으로 낮춰 경쟁력을 확보하고, 전체 온실가스의 80%를 배출하는 화력발전소를 2040년까지 전면 폐쇄하기로 했다.
아울러, 호주 정부가 ‘국가 수소 전략 (Australia`s National Hydrogen Strategy(2019))’에서 언급한 탄소중립 목표에 따라 2050년까지 전체 수소 생산량의 75%를 수출하고, 약 8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이룰 계획이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수소경제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 호주의 탄소중립 실천 방안 및 추진 전략을 파악하기 위해 △호주의 에너지 전환 배경 △호주 수소산업 생태계 및 지역별 프로젝트 △호주 정부의 수소전략 및 추진계획을 심층적으로 조사했다. 또한, 호주의 대외 수소협력 현황 분석을 통해 한·호 수소산업의 협력 방향을 제시했으며, 호주 수소산업의 주요 전시회와 주요 기업 69개사의 정보를 담았다.
보고서에서 언급된 호주 정부의 ‘기술투자 로드맵’에 따르면, 호주는 세금이 아닌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탄소중립을 실천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수소 가치사슬 중 ‘생산과 운반’에 집중해 수소경제를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호주 국립지질자원연구소에 따르면, 호주 국토의 11%에 해당하는 면적이 수소 생산에 최적화된 자연환경이기에 경쟁국 대비 수소 생산시설 확보에 유리한 지리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국, 일본 등 주요 아시아 국가와 밀접한 지리적 이점을 살려 최대의 수소 생산국 및 수출국으로 발돋움할 계획이다.
다만 호주는 수소 운송과 저장, 활용 단계에서 인프라 및 기술이 부족해 수소차 등 수소를 활용하는 기술이 앞서는 한국과의 협력을 희망하고 있다.
지난 6월 G7 양국 정상회담에서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호주 총리는 “호주의 수소에너지 생산과 한국의 수소경제는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며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국가 간 기술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후 한·호 사이에 상호보완적인 수소경제 협력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양국 정부·기업·학계 간의 교류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에서는 호주 정부의 수소전략 및 8개 주 정부의 추진 계획도 설명하고 있다.
2018년에 첫 로드맵를 발표한 이후 2020년 3월에는 기술투자 로드맵을 공개해 5대 저탄소 배출기술*에 1조 6378억 원을 투자했다. 호주 정부는 앞으로 매년 저탄소 배출 기술 성명서를 내 2030년까지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이후에는 생산성 확대에 집중해서 수소경제를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호주 정부 및 주요 프로젝트 관계자와의 현장 인터뷰를 통해 △그린수소 프로젝트 공동 개발 △수소 저장·운송 분야 기술 협력 △수소 활용 분야의 현지 진출전략 등을 다루면서 한-호 수소 협력 방향을 제시했다.
최규철 KOTRA 멜버른무역관장은 “수소경제는 이제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라며 “수소 생산에 유리한 환경을 갖춘 호주와 활용 기술에 강점을 가진 한국이 협력한다면 양국 모두 윈윈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동 보고서는 KOTRA 해외시장뉴스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