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정부부처·공공기관

궐련형 전자담배 니코틴 함유량 일반담배와 비슷…타르는 오히려 더 많아

식약처 "니코틴 자체가 중독성 있어 궐련형 전자담배 금연에 도움 안돼"

 

[웹이코노미=김필주 기자] 궐련형 전자담배가 일반담배와 니코틴 함량도 비슷하고 타르의 경우 오히려 더 많은 것으로 조사돼 논란이 되고 있다.

 

전자담배 이용자들 대부분이 기존 담배에 비해 유해물질이 적을 것으로 추정해 전자담배로 갈아탄 만큼 향후 담배 시장의 지각변동도 예상되고 있다.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국내에서 판매 중인 궐련형 전자담배(가열담배) 배출물에 포함된 니코틴, 타르 등 11개 유해성분을 분석한 결과 일반담배와 마찬가지로 포름알데히드, 벤젠 등 인체에서 암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또한 분석대상 성분·분석방법과 분석결과에 대해서는 분석 화학, 환경 화학 등 다양한 분야의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시험분석평가위원회’에서 검증 절차를 거쳐 신뢰성과 타당성을 인정받았다고 전했다.

 

식약처에 의하면 궐련형 전자담배의 경우 현재까지 국제적으로 공인된 분석법이 없기 때문에 일반담배의 국제 공인분석법인 ISO법과 HC(HealthCanada)법을 궐련형 전자담배에 맞게 적용해 각각 분석했다.

 

ISO법은 담배필터의 천공(穿孔) 부위를 개방해 분석하는 방법으로 일반담배의 니코틴, 타르 함유량 표시에 적용하는 분석법이다.

 

HC법은 실제 흡연자의 흡연습관을 고려해 천공 부위를 막고 분석하며 ISO법 보다 더 많은 담배 배출물이 체내에 들어간다고 가정했다.

 

식약처가 조사한 대상은 ▲필립모리스(PM)의 ‘아이코스(앰버)’ ▲브리티쉬아메리칸토바코(BAT)의 ‘글로(브라이트토바코)’ ▲KT&G의 ‘릴(체인지)’ 제품이다.

 

해당 제품에 대해 식약처는 일반담배 의무표시 성분인 ‘니코틴’, ‘타르’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각 국 정부에 저감화를 권고하는 벤조피렌, 포름알데히드, 아크룰레인 등 9개 성분을 포함한 총 11개 성분을 분석했다

 

ISO법으로 측정한 결과 이들 3개 제품의 니코틴 평균 함유량은 글로 0.1mg, 릴 0.3mg, 아이코스 0.5mg이 검출됐다, 시중에 많이 유통되는 상위 100개 일반담배 제품의 경우 니코틴 함유량은 0.01mg부터 0.7mg까지로 전자담배와 일반담배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하지만 타르의 평균 함유량은 3사(社)의 궐련형 전자담배에서 훨씬 많이 검출됐다.

 

이들 3제품의 타르 평균 함유량은 각각 4.8mg(글로), 9.1mg(릴), 9.3mg(아이코스)으로 시중서 많이 판매되는 일반담배의 타르 함유량이 0.1mg부터 8.0mg인 것과 비교하면 높은 수치다.

 

WHO가 저감화 권고한 9개 성분 중 국제암연구소에서 인체 발암물질(1군)로 분류한 6개 성분을 ISO법으로 분석한 결과 평균 함유량 범위는 ▲벤조피렌 불검출~0.2ng ▲니트로소노르니코틴 0.6~6.5ng ▲니트로소메틸아미노피리딜부타논 0.8~4.5ng ▲포름알데히드 1.5~2.6μg ▲벤젠 0.03~0.1μg이 검출됐으며 ‘1,3-부타디엔’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외에 3개 성분에 대해서는 ▲아세트알데히드 43.4~119.3μg ▲아크롤레인 0.7~2.5μg ▲일산화탄소 불검출~0.2mg의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흡입부피·빈도 등이 강화된 HC법을 적용해 분석했을 경우 유해성분 평균 함유량은 ISO법보다 1.4배에서 6.2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성분별 평균 함유량은 ▲벤조피렌 0.1~0.5ng ▲니트로소노르니코틴 0.9~18.3ng ▲니트로소메틸아미노피리딜부타논 1.6~12.1ng ▲포름알데히드 4.0~12.2μg ▲벤젠 0.06~0.2μg ▲아세트알데히드 72.6~193.6μg ▲아크롤레인 1.7~7.9μg ▲일산화탄소 불검출~0.5mg으로 ISO법으로 측정한 수치에 비해 더 높았다.

 

궐련형 전자담배 유해물질 분석결과를 발표한 식약처는 “궐련형 전자담배의 니코틴 함유량은 일반담배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며 “니코틴 자체가 중독성이 있기 때문에 궐련형 전자담배가 금연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와함께 식약처는 “특히 궐련형 전자담배 2개 제품(릴, 아이코스)에서 타르 함유량이 일반담배 보다 높게 검출됐다는 것은 궐련형 전자담배가 일반담배와 다른 유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 당국은 이번 식약처 분석결과를 통해 담배 제품관리 및 금연정책 등에 적극 활용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담배 제조업자·수입판매업자가 담배의 원료 및 유해성분 등에 관한 자료를 정부에 제출하면 정부가 이를 검토해 국민에게 공개하는 내용의 담배사업법 및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논의 중이라고 알렸다.

김필주 기자 webeconomy@naver.com

 





레저·여행·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