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뉴시스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삼성물산이 1조6000억원대 회계처리 기준 위반으로 증권발행제한 등의 제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제재논의 과정에서 조치 수준을 경감해 ‘솜방망이 처벌’ 논란이 일고 있다. 23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지난 8월 열린 정례회의에서 삼성물산이 2017년 1~3분기 중 분·반기보고서에 1조632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과대계상했다고 판단, 금융감독원이 올린 ‘삼성물산의 분·반기보고서에 대한 조사 결과 조치안’을 수정 의결했다. 삼성물산은 ‘매도 가능 금융자산’으로 삼성SDS 주식(1321만5822주)을 보유했으나 당시 삼성SDS 주가가 계속 하락했음에도 이를 손상차손으로 인식하지 않고 당기순이익을 부풀렸다. 삼성SDS 주가는 2015년 말 25만4000원에서 2016년 말 13만9500원으로 45.1% 금감했다. 이후 2017년 말 20만원선으로 반등했다. 금감원은 삼성물산의 감리 결과 회계처리 위반 사항의 동기를 두고 고의가 있거나 중대한 과실이 있다고 보진 않아 ‘과실’로 판단했다. 다만 잘못 공시된 위반 금액이 1조6000억원대인 점을 고려해 현재 대표이사인 당시
이재광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사장. 사진제공=HUG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방만 경영으로 국감에서 질타를 받은 이재광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사장이 389일의 근무일 가운데 260일을 출장 및 휴가로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방만 경영으로 질타를 받은 이재광 HUG 사장이 국정감사가 끝난 다음날(15일) 바로 반차 휴가를 간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국감에서는 이재광 사장이 회삿돈을 이용해 부산 지역 평균 전세가의 4배 수준에 달하는 사택에서 거주하고 1년 반 동안 6번의 해외출장을 간 사실 등이 확인됐다. HUG 관계자는 국감 직후 이재광 사장이 반차를 사용한 것에 대해 "국감 직후 부산에 복귀해 새벽 시간에 업무가 끝났다"며 "반차를 사용하고 오후에는 다시 출근해 정상적으로 근무를 수행했다"고 전했다. 이재광 사장의 방만 경영과 근무태만 지적은 지난 21일 국토위 종합감사에서도 이어졌다. 국토교통위원회 이헌승 이원은 “이재광 사장은 총 389일의 근무일 가운데 260일을 출장 또는 휴가에 허비했다”며 “부산 사무실에 출근해서도 온종일 근무한 횟수는 평균 일주일도
중국 상하이 쓰지광장에 위치한 현대차 수소 비전관. 사진제공=뉴시스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중국 정부가 현대차그룹의 중국 합작 법인 쓰촨(四川)에 100% 지분 매입을 허용했다고 홍콩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의 중국 내 합작 법인 쓰촨현대가 중국 측 합작 파트너로부터 지분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완전한 소유권을 획득할 생각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중국매체 관찰자망 등도 현대차그룹이 2020년 초 쓰촨 현대 지분을 100% 확보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SCMP는 익명의 현대차그룹 고위 임원을 인용해 현대차그룹이 올해 말에서 내년 초 사이에 매입을 마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1994년 자동차산업 합작회사에서 중국 측 지분이 50% 아래가 될 수 없다고 규정했다. 이에 현대차는 지난 2012년에 쓰촨난쥔(四川南駿)기차집단과 지분을 50%씩 나눠 쓰촨현대를 설립했다. 베이징현대는 주로 승용차를 제작하며, 쓰촨현대는 버스 등 상용차를 만든다. 한편 중국 정부는 2018년 특수목적차량과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분야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자동차 산업에서의 외국자본 비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 사진제공=뉴시스[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주식 공매도 시장 투자자들의 불균형 해소를 위해 신용거래대주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내 공매도 시장의 기관·외국인투자자의 일평균 거래대금 비중은 코스피 99.2~99.6%, 코스닥 98.1~99.3%를 기록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개인투자자의 비중은 각각 0.4~0.8%, 0.7~1.9%에 불과해 공매도 거래에 대한 투자자간 형평성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스닥 공매도 시장의 경우 3년간 외국인투자자의 비중이 꾸준히 70%대를 유지해 외국인투자자 공매도가 하락장에서 주가 폭락을 가중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공매도는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될 때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고, 주가가 떨어지면 주식을 다시 매수해 갚는 투자 기법이다. 예상대로 주가가 하락할 시 이익을 내지만 반대로 오르면 손해를 본다. 현재 자본시장법상 무차입공매도(주식도 확보하지 않은 매도 행위)를 금지하고 있어 공매도 거래를 위해서는 반드시 사전에 주식을 차입해야 한다. 이러한
사진제공=맘스터치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패스트푸드의 대명사 ‘햄버거’로 인한 소비자 피해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오프라인 시장에서 급성장을 이루고 있는 토종 패스트푸드 ‘맘스터치’는 햄버거 프렌차이즈 업체 중 식품위생법 위반 건수 1위 불명예를 차지했다.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상희(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소비자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올 9월까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햄버거 피해접수 건수는 총 924건이었다. 햄버거 피해 가운데 '내부 장기손상'(소화기·호흡기·신경계 손상 및 통증)이 458건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손상(구토·설사·알레르기) 107건, 피부손상(두드러기·피부발진·피부통증·가려움) 105건, 근육·뼈 및 인대 손상(치아파손) 43건, 전신손상(식중독) 42건 순으로 나타났다. 프렌차이즈 패스트푸드점의 위생 관리 문제도 증가했다. 최근 4년간(2016년부터 2019년 9월까지) 식품위생법 위반 업소 1위는 맘스터치(158건)로 나타났으며, 롯데리아(125건), 맥도날드(76건)가 뒤를 이었다. 앞서 맘스터치는 덜익은 닭고기 패티가 들어간 햄버거를 소비자
사진제공=뉴시스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롯데손해보험이 지난 18일 유한회사 빅튜라와 호텔롯데를 대상으로 3750억원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단행했다고 21일 밝혔다. 롯데손보는 지난 10일 최대주주를 호텔롯데 외 4인(부산롯데호텔·롯데역사·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아이오이 닛세이 손해보험)에서 빅튜라로 변경한 바 있다. 빅튜라는 롯데손해보험을 인수한 JKL파트너스가 설립한 유한회사로 3562억5000만원을 출자해 롯데손보 지분 53.49%를 확보했다. 호텔롯데도 187억5000만원을 출자해 기존 지분(5%)을 유지했다. 유상증자로 발행된 보통주 1억7605만6320주의 발행가액은 2130원이다. 신주 발행에 따라 발행주식 총수는 3억1033만6320주로 증가했다. 보험금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지급여력(RBC)비율도 194.9% 수준으로 높아졌다. 롯데손보 관계자는 "이번 대규모 유상증자를 통해 롯데손보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성장해 나갈 기반을 마련했다"며" "2020년 퇴직연금 리스크의 RBC 100% 반영과 2022년 IFRS17(보험 국제회계기준), K-ICS(신 지급여력제도)의 도입 등 제도 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재무건전성을 갖추게 됐다
사진제공=뉴시스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최근 5년간 전국 아파트 1만8682가구에서 방사성 물질 '라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사 가운데 포스코건설은 전국 아파트 라돈 검출 신고 1위의 불명예를 차지했다.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정동영 의원(민주평화당)이 14개 광역지방자치단체(17개 중 경기·충남·제주 미제출)로부터 받은 '아파트 라돈 검출 피해 신고 접수 내역' 분석 결과 2015년부터 올해 8월까지 16개 단지 1만8682가구에 사용된 건축자재에서 라돈이 확인됐다. 특히 포스코건설은 5개 단지·5164가구에서 라돈이 검출돼 건설사별 검출 주택 수가 가장 많았다. 그 뒤로 부영주택 4개 단지·4800가구, 한신공영 2개 단지·1439가구 등으로 조사됐다. 금성백조, 두산건설, 라인건설, 삼성물산, 중흥건설, 태영건설, 하랑종합건설, 한라건설 등 8개 건설사는 각 1개 아파트 단지에서 라돈 검출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서울시 노원구 녹천역 두산위브아파트, 전주 에코 포스코 더샵2차 아파트는 신고접수 후 라돈 검출 건축자재를 모두 교체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별로는 부산 4800가구, 세종 3792가구, 서울 3161가구, 경
사진제공=뉴시스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최근 5년간 국세청이 금융정보분석원(FIU) 정보를 세무조사에 활용해 추징한 세액이 연평균 2조원을 훌쩍 넘어섰다.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명재(자유한국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세청이 FIU 정보를 세무조사에 활용해 추징한 세액은 5년 평균 2조4212억원으로 나타났다. 2014년 2조3518억원, 2015년 2조3647억원, 2016년 2조5346억원, 2017년 2조3918억원, 2018년 2조4635억원 등이다. FIU 정보를 체납업무에 활용해 추징한 세액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2014년 2112억원, 2015년 3224억원, 2016년 5192억원, 2017년 6670억원, 2018년 5035억원 등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세청이 FIU에 정보를 요청하는 건수는 2014년 2만2259건, 2015년 2만7387건, 2016년 3만644건, 2017년 3만2150건, 2018년 3만3825건 등이다. 반면 FIU에서 혐의 정보를 제공하는 건수는 2014년 1222건, 2015년 1017건, 2016년 1010건, 2017년 710건, 2018년 82
사진제공=유니클로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일본 의류기업 유니클로의 인터넷 광고가 위안부 피해자 모욕하는 내용이 담겼다는 의혹이 불거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18일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 등은 지난 15일부터 국내 방영을 시작한 '유니클로 후리스: LOVE & FLEECE' 광고가 우회적으로 위안부를 모욕했다고 주장했다. 해당 광고는 화려한 옷차림의 93세 여성과 13살 소녀가 등장해 영어로 대화를 나눈다. 소녀가 93세 여성에게 "스타일이 정말 좋다. 제 나이 때는 옷을 어떻게 입었냐"고 묻자, 93세 여성은 "맙소사, 그렇게 오래 전 일은 기억하지 못해!(Oh My God, I can't remember that far back!)"라고 답한다. 문제는 국내편 광고에서 시작됐다. 한국어 자막이 달린 광고에는 해당 부분이 "맙소사, 80년도 더 된 일을 기억하냐고?"라며 원래 대사와 달리 80년 전이라는 숫자가 등장한다. 자막에 제시된 80년 전(1939년)은 국가 총동원령이 내려지며 위안부 강제 동원 등 만행이 자행되던 시기다. 이에 네티즌들은 일본 회사인 유니클로가 역사적 배경이 있는 특정 연도를 의식해 집어넣은 것이 아니냐는 의혹
사진제공=뉴시스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금융당국이 내년 1분기부터 불법 공매도에 대한 제재 강화에 나선다. 17일 금융위원회는 자본시장법 상 공시 및 불공정거래 관련 규제 위반행위의 특성을 고려한 과태료 부과기준을 신설하고 엄격한 제재근거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5월 발표한 '주식 매매제도 개선방안'의 후속초지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 선 매도한 뒤 실제 주가가 떨어지면 다시 매입해 갚음으로써 시세차익을 얻는 투자 방법이다. 반대로 빌린 주식을 매도한 시점보다 주가가 오를 시 오른 주식을 매입해 갚아야해 손실이 발생한다. 문제는 주식을 빌리지 않고 매도부터 하는 무차입 공매도다. 무차입 공매도는 주가 낙폭을 키우고 증시 변동성을 확대한다는 이유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지됐다. 현행 규정에 따르면 공매도 위반행위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할 때 금융기관의 검사·제재에 관한 규정이 적용됐다. 기존에는 위반사안(중대·보통·경미)과 동기(고의·중과실·과실)에 따라 과태료 비율을 20%부터 100%까지 산정했다. 하지만 외국계 기관들의 공매도 위반이 다수 적발되고 개인투자자들의 처벌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자
사진제공=뉴시스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최근 5년간 주택 한 채를 팔아 10억원 이상 차익을 본 사람의 셋 중 한 명은 서울 강남3구(서초·강남·송파) 거주자로 나타났다.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두관(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2013∼2017년 양도차익 신고 현황’에 따르면 10억원 이상 양도차익 발생 주택 거래 건수는 전국에서 1만934건이었고 차익 총액은 16조5279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소유자의 거주지에 따른 거래는 서울이 7187건(10조8823억원)으로 전체의 65.7%를 차지했다. 특히 같은 기간 강남3구 거주자들의 거래 건수는 3927건(5조9076억원)으로 서울 전체 거래 건수의 54.6%를 차지했다. 강남3구 거주자의 전국 거래 내 비중은 35.9%로 나타났다. 이는 주택을 팔아 10억원 이상 이익을 본 사람의 셋 중 한 명이 서울 강남3구에 살고 있다는 의미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강남3구 거주자 수는 157만1017명으로 전체 인구의 3.1%, 서울 인구의 16.1%를 차지했다. 양도차익 10억원 이상 주택 거래는 2013년 기준 전국에서 709건(총 1조851억원)이었으나
사진제공=웹데일리DB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하도급 계약서를 늑장 발급한 NHN(구 NHN엔터테인먼트)가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1억100만원을 부과받았다. 16일 공정위에 따르면 NHN은 지난 2015년 1월부터 2017년 5월까지 18개 수급 사업자에게 28건의 용역·제조 위탁을 하면서 계약서를 늦게 발급했다. 이 중 5개 수급사업자에게 위탁한 6건의 계약서는 계약기간이 종료된 후에 발급됐다. 또 16개 수급사업자에게 위탁한 22건의 용역·제조위탁 계약서는 용역수행행위 또는 물품 납품을 위한 작업 시작 후 최소 8일에서 최대 152일까지 지연해 발급했다. 하도급법에 따르면 원사업자가 수급 사업자에게 용역·제조 등을 위탁할 시 용역수행행위를 시작하기 전(용역위탁), 물품 납품을 위한 작업을 시작하기 전(제조위탁) 계약서를 발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앞서 네이버 자회사 ‘라인플러스’도 하도급 위반행위로 공정위로부터 제재를 받은 바 있다. 라인플러스는 2015년 1월부터 2017년 5월까지 동안 19개 수급사업자에게 계약서 없이 27건의 용역을 맡겨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 공정위자는 "이번 조치는 소프트웨어 업종의 하도급
사진제공=뉴시스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대기업 계열 보험회사의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가 극심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정재호(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23개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의 계열사 위탁 운용액은 전체 운용액의 84%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6년보다 계열사 위탁운용액이 증가한 22개 회사 중 13개 회사가 계열사 위탁운용 비율이 증가했다. 특히 재벌이라 일컫는 총수 있는 대규모기업집단 계열 보험사에서 위탁운용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1위 삼성생명은 총 운용액 166조원 가운데 90%(149조4000억원)에 해당하는 금액을 삼성자산운용 등에 위탁하고 있었다. 업계 2위 한화생명은 118조3000억원 가운데 91%(107조3000억원)를 한화자산운용에 맡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재호 의원은 "재벌 계열 금융회사의 일감 몰아주기는 대표적인 불공정 거래행위"라며 "지나치게 높은 일감 몰아주기 비중은 소비자의 권리 침해 및 총수 일가 재산의 편법 대물림 등으로 악용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계열사에 편중된 자산운용 위탁은 수익률 하락을 불러 보험회사
사진제공=삼성전자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윤부근 삼성전자 부회장이 "올레드(OLED)냐 아니냐는 소비자에게 중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15일 윤 부회장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19 삼성 협력사 채용 한마당’에서 최근 LG전자의 삼성 QLED TV 논쟁을 염두에 둔 듯 이같이 발언했다. 최근 LG전자는 삼성전자의 QLED 8K TV의 화질선명도(CM)가 평가기준인 50%에 미달한다고 저격한 데 이어 LCD 패널을 사용하는 TV에 QLED라는 명칭을 사용해 소비자에게 혼란을 준다며 삼성전자를 공정위에 신고한 바 있다. 윤 부회장은 "화장을 할 때 눈썹만 진하게 그리면 안 된다. 자기 얼굴에 맞는 최적화가 중요하다"며 "화질도 특정 수치가 좋다고 최고 화질을 내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최근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13조원 규모 신규 투자를 결정하며 ‘QD-OLED(퀀텀닷 유기발광다이오드)’가 아닌 ‘QD 디스플레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에 대해서는 "크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소비자에게 최고의 화질을 보여주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삼성전자는 유튜브를 통해 LG전자의 OLED 번인(열화)을 지적하는 광고 동
사진제공=뉴시스 [웹이코노미=조경욱 기자] 내년부터 국내 저축은행에 예대율 규제가 시작된다. 내년 110%로 시작해 2021년 이후에는 100%까지 적용받는다. 15일 금융위원회는 저축은행 예대율 규제를 도입하는 저축은행법 시행령 개정안을 공포했다고 밝혔다. 예대율 규제란 예수금 범위 내에서 대출을 운용하도록 하는 규제로 대출을 업으로 하는 금융회사의 경영 건전성 확보를 위해 만들어졌다. 예대율 100%는 전체 대출금이 예·적금을 초과할 수 없다는 의미다. 개정안에 따르면 규제 대상은 직전 분기말 대출잔액을 1000억원 이상 보유하고 있는 저축은행이다. 2018년말 기준 69개의 저축은행이 이에 해당된다. 예대율은 내년 110%, 2021년부터 100%로 적용된다. 금리 20%가 넘는 고금리 대출은 예대율 산정 시 130%로 적용한다. 과도한 고금리 대출을 제한하기 위한 조치다. 2009∼2010년 80% 수준이던 저축은행 예대율은 2012년 말 75.2%까지 하락한 뒤 2017년 100.1%까지 상승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대출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지난 4월 예대율 규제 도입 방안을 마련했다. 이외 저축은행의 특정업종에 대한 신용공여한도